234 743

Cited 0 times in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의 자기공명영상에서 관찰되는 악관절 삼출

Other Titles
 Magnetic resonance evidence of joint effusion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uthors
 고지영 
Issue Date
2000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측두하악관절의 자기공명영상의 T2 강조영상에서 관찰되는 악관절 삼출 소견은 관절강 내의 염증소견을 나타내는 것으로 악관절 통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측두하악관절장애에서 기원한 연관통 진단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악관절 삼출 소견은 관절원판 변위가 더욱 진전된 경우에 많이 관찰되며 하악과두의 이상 신호 강도와 같이 동반된 경우는 악관절 장애의 중요한 초기소견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저자는 편측성 또는 양측성 측두하악장애가 있었던 환자들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악관절 내장증 및 골관절증과 악관절 삼출 소견과의 관계, 그리고 편측성 측두하악장애가 있었던 환자들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악관절 통증과 악관절 삼출 소견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자기공명영상에서 관찰되는 악관절 삼출 소견의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악관절 중상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병뭔 악관절 클리닉에 내원하여 임상검사 및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406환자의 812관절을 자기공명영상에서의 관절원판의 상태에 따라 정상위치군, 복위성 원판변위군, 비복위성 원판변위군 초기, 비복위성

원판변위군 후기로 분류하고, 또한 악관절의 골 상태에 따라 정상골군, 골관절증군으로 분류한 뒤에 각 군별로 악관절 삼출 소견을 자기공명영상 T2 강조영상에서 관찰되는 부위와 면적에 따라 악관절 삼출 0소견(관찰안됨), 1소견(보통), 2소견(다량), 3소견(과다량)으로 분류하여 측두하악관절 상태에 따른 악관절 삼출 빈도를 살펴보았으며, 편측성으로 증상이 있었던 289명의 578관절에 대하여 악관절 통증에 따른 악관절 삼출 빈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관절원판 상태에 따라 나타난 악관절 삼출 빈도는 정상위치군이 8%, 복위성 원판변위군이 32.6%, 비복위성 원판변위군이 59.2%였으며, 특히 비복위성 원판 변위군 내에서 초기가 83.4%, 후기가 23.1%로 각각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2. 골 상태에 따라 나타난 악관절 삼출 빈도는 골관절증군에서 39.7%로, 정상골군에서는 35.0%로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악관절 삼출 정도에 따라 비교하면 골관절증군에서 악관절 삼출 2소견이 관찰된 빈도가 정상골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

(p<0.001).

3. 원판변위군/정상골군에서 악관절 삼출이 나타난 빈도는 46.6%로, 원판변위군/골관절증군의 41.2%와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악관절 삼출 정도에 따라 비교하면 원판변위군/골관절증군에서 악관절 삼출 2소견이 관찰된 빈도가 원판변위군/정상골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1).

4. 편측성 관절압통이 있는 241관절과 통증이 없는 289관절을 비교한 결과, 악관절 통증이 있는 군에서 악관절 삼출 소견이 보인 빈도는 49.8%였으며 악관절 통증이 없는 군의 22.4%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5. 관절원판 상태와 통증에 따른 악관절 삼출 빈도를 비교한 결과, 비복위성 원판변위군 초기가 통증이 있는 군에서 91.9%였고, 통증이 없는 군에서는 62.1%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1).

결론적으로 악관절 삼출은 골관절증의 유무와 상관없이 관절원판 변위와 연관성이 있으며 특히 비복위성 원판변위군 초기는 악관절 삼출 및 악관절 통증과 동반되기 쉽다. 그리고, 악관절 내장증이나 골관절증이 있는 관절에서 삼출 소견이 관찰되는 경우 계속적인

추적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High signal intensity in T2-weighted temporomandibular joint(TMJ) magnetic resonance image(MRI), regarded as joint effusion, is understood as evidence of inflammation. It is highly associated with joint pain and provides the clinician with important information in determining the origin of the pain

in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pain and joint effusion in patients with TMJ internal derangement and/or osteoarthrosis.

The materials included the clinical records of 406 patients(812 joints) and bilateral TMJ MRIs in the TMJ clinic, Yongdong Severance Hospital. All joints were classified in 4 groups according to the disc status of the joint; normal disc Position,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early Stage of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nd late stage of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There were also 2 groups according to the bony status of the joint; normal bony structure, and osteoarthrosis in MR images. MR evidence of joint effusion was categorized in 4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degree 0(no effusion), degree 1(moderate amount), degree 2(large amount), and degree 3(widespread amoun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pain and joint effusion, 289 patients with unilateral TMJ symptoms were selected from the total materi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Joint effusion according to the disc status of joint was found 8.0% in normal disc position, 32.6% in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and 59.2% in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83.1% in early stage and 23.1% in late st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f<0.701).

2. Joint effusion according to bony status of joint was 39.7% in osteoarthrosis and 35.0% in normal bony structure, with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egree of joint effusion(p<0.001); degree 2 of joint effusion(large amount) was observed to be higher than the others in osteoarthrosis, compared with normal bony structure.

3. In disc displacement/normal bony structure, joint effusion was 46.6%, and in disc displaremt/osteoarthrosis, it was 41.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degree 2 of joint effusion(large amount) was more

evident in disc displacement/osteoarthrosis compared with disc displacement/normal bony structure(p<0.01).

4. Joint effusion was more prevalent in painful joints(49.8%) than in the painless joints(22.4%)(p<0.001)

5. Joint effusion in the early stage of disc displacement only without reduction was found more in painful joints(91.9%) than in painless joints(62.1%) with significance(p<0.001) .

In conclusion, MR evidence of joint effusion might be related to disc displacement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osteoarthrosis, and the early stage of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was found more frequently with joint effusion and joint pain than with any other dirt status. Long-term follow-up study for the change of MR evidence of joint effusion will be necessary.
Files in This Item:
T00550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3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