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1 1929

Cited 0 times in

집단 음악 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group music program on depression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Authors
 이주희 
Issue Date
2000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집단 음악 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C요양원, 5요양원에 입소한 65세 이상의 노인 50명 중 시설입소에 적응이 된 6개월 이상 거주자로 청각장애가 없으며 노인용 한국판 정신상태 설문지(Mini-Mental State Examination-K)를 이용한 인지기능점수가 18점 이상으로 치매가 아닌 노인 28명을 임의표출 하였다. 특히, 노인의 경우 여자 노인에게 우울의 빈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Blazer, 1989) 여자 노인으로만 연구대상자를 제한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로 처치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처치완료후와 1주후에 추후조사를 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음악프로그램을 실험군에게 3주동안 1주에 2회씩 모두 6회 실시하였으며, 우울의 정도는 Yesavage 등(1983)이 개발한 30개 문항의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 GDS)를 정인과 등(1997)이 표준화한 것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Mann whitney test, Wilcoxon sign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의 우울정도는 음악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Z=-2.118, p=.034), 치료적 효과는 1주후 추후측정에서도 평균점수가 비교적 일관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Z=-1.701, p=.089).

2. 사전우울정도가 높았던 집단(20점이상의 대상자)의 우울정도 역시 음악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Z=-2.007, p=.045), 1주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Z=-2.140 p=.032) 음악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이 확인되었다.

3. 본 연구에서 실험군의 경우 우울측정도구의 문항을 통해 본 우울증상은 주로 행복, 기쁨을 느끼기, 자존감 향상의 정서적 측면과 활동의 증가의 행동적 측면, 부정적인 감정 감소 등의 인지적 측면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적용한 음악프로그램이 우울의 정서, 행동, 인지 세 가지 측면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노래부르기 등의 가창과 악기연주가 동반되는 체계적인 집단 음악 프로그램은 시설노인과 같이 위축되고 고립감, 활동의 감소, 제한된 환경에 있는 대상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집단 음악 프로그램 1, 2, 3회를 마친 후 대상자의 반응이 두드러진 점을 토대로 적어도 3회 이상의 지속적인 중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방법적인 면에서 노인에게 악기연주나 노래부르기 등의 가창형태 음악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group music program on depression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Research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the two elderly institutions in Seoul.

Inclusion criteria were (a) age 65 and older (b) have lived more than 6 months in an institution (c) absence of hearing defect (d) score of 18 and more in MMSE-K and (e) female because depression is more prevalent in women(Blazer, 1989).

The study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 posttest. Data were collected over 6 weeks.

The music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e music program twice a week for 3 weeks. Depression was measured by a standardized Geriatric Depression Scale of Jung(1997) which was made by Yesavage in 1983. Data were analyzed with a Mann whitney test, Wilcoxon sign rank test using SPSS/P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e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Z=-2.118, p=.034). The mean score of the depression was decreased after 1 week of the treatment,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Z=-1.701, p=.089).

2. In a more depressed group,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Z=-2.007, p=.045),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fter 1 week of the treatment(Z=-2.140 p=.032).

3. A group music program was effective on 3 major factors of depression: psychological aspects(increased happiness, increased pleasure, increased self-esteem), behavioral aspects(increased activation) and cognitive aspects(decreased negativism).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ystematic group music program composed of singing and playing instruments was effective after 3 times exposure on depression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who are withdrawn, isolated and have decreased activity.
Files in This Item:
T00549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JuHee(이주희)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2805-1622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34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