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2133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정신질환자와 간호사의 대인관계 경험

Other Titles
 (The) experiences of psychiatric nurse-pati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hors
 박정원 
Issue Date
2000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와 간호사의 대인관계 경험의 본질을 이해함으로써 간호사와 간호대상자 관계에 관한 간호 지식체 개발과 간호 실무에서 환자와의 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의 참여자는 A대학 부속 병원의 정신과 폐쇄 병동에서 입원 치료 중인 환자 6인과 정신과 간호사 4인이었다. 본 연구의 주된 자료는 연구 참여자와의 개별 면접 자료와 연구 참여자가 직접 기술한 내용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접에 의한 자료 수집 기간은 1999년 6월 28일부터 9월 5일까지였다.

연구 결과 정신질환자의 간호사와의 대인관계 경험의 본질적 주제로 온화함과 냉담, 수용과 거부, 신뢰와 불신, 대상화, 든든함과 힘을 얻음 등이 드러났다. 간호사의 정신질환자와의 대인관계 경험의 본질적 주제로는 성취감과 무력감, 공감과 일방적 태도, 몰두와 거리두기, 사명감과 일상감, 되돌아봄 등으로 드러났다.

정신질환자의 간호사의 대인관계 경험의 첫 번째 본질적 주제는 온화함과 냉담으로서, 환자들은 얼굴 표정, 미소, 시선 접촉, 눈빛, 목소리, 말투, 음성, 움직임등의 간호사의 비언어적 태도를 통해 온화함과 냉담을 경험하였다. 두 번째 본질적 주제는 수용과 거부로서, 환자들은 간호사가 진실된 비언어적 태도로 관심을 갖고 경청해 줄 때 수용 받음을 느끼며 자신의 감정과 사고를 노출하였다. 간호사에게 거부를 경험하는 경우는 간호사가 자신의 고통을 이해하지 못할 때, 간호사의 기준대로 맞추려고 할 때, 간호사로부터 몰아세워지는 느낌을 받을 때, 간호사가 직접적, 지시적인 태도로 대할 때로서, 이 때 환자는 속마음을 은폐하였다. 세 번째 본질적 주제는 신뢰와 불신으로서 환자들은 간호사의 진실성, 합리적인 태도, 도움이 되는 언어적 중재 등에서 신뢰를 경험하고 간호사가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사정하지 못할 때, 비일관적이고 불명료한 의사소통 행위를 보일 때 불신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네 번째 본질적 주제는 대상화로서 환자들은 간호사에게서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푸는 어머니의 모습, 인생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 주는 상담 선생님, 사귀고 싶은 여자 친구 등의 모습을 보게 됨을 발견하였다. 마지막 주제로는 든든함과 힘을 얻음으로서 간호사가 항상 함께 있어 줌으로써 보호받음을 느끼고 안정감을 경험하며 회복하기 위한 힘을 얻는 것으로 드러났다.

간호사의 정신질환자와의 대인관계 경험의 첫 번째 본질적인 주제로는 성취감과 무력감으로, 간호사는 환자가 간호를 수용한다는 언어적, 비언어적 반응을 보여줄 때, 환자의 힘든 과정을 지지하면서 환자의 호전되는 과정을 지켜볼 때 성취감을 느끼며, 환자가 간

호 행위에 대해 변화가 없을 때, 환자의 병적 증상을 조절할 수 없을 때, 감정 조절이 어려울 때 무력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 본질적 주제로는 공감과 일방적 태도로서, 환자를 도와주고 싶음, 환자의 입장을 이해함, 환자와 마음이 통함, 환자의 긍정적 변화로 인해 기쁨을 느끼면서 공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환자가 간호에 반응하지 않을 때 환자에게 재촉하고 요구하고 환자를 회피하는 등 일방적인 태도를 취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본질적 주제로는 몰두와 거리두기로서, 간호사들은 환자와의 관계에 자신의 개인적 감정이 영향을 주게 됨을 인식하고 있었는데, 특정 환자에 대한 애착과 회피, 환자에 대한 선호성과 편견, 환자와의 동일시, 지나친 감정적 몰두 등을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네 번째 본질적 주제로는 사명감과 일상감으로서 경력이 쌓이면서 간호 업무에 익숙해지고 반복되는 환자들의 재발로 인해 환자들의 증상에 무덤덤해지고, 환자 개개인과의 관계 형성보다는 간호 업무 중심으로 우선 순위가 변하면서 일상적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 본질적 주제는 되돌아봄으로 간호사는 정신질환자와의 관계에서 끊임없이 자기를 되돌아봄으로써 자신이 치료적 도구로 이용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을 없애고, 치료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훈련하고, 학문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치료진들 간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일상감에 젖은 자신의 모습을 반성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정신질환자와 간호사의 대인관계는 상호 호혜성(Reciprocity)을 바탕으로 할 때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experiences of the psychiatric nurse-patient relationship and to contribute to nursing knowledge development about nurse-client domain by Van Manen'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the 6 psychiatric patients who hospitalized in closed psychiatric unit and 4 psychiatric nurses. In this study, the main data was created with interviewing data and diary from research participants. The interviewing period is from June, 28 to september, 5, 1999.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s :

Essential themes of patients' experiences of the psychiatric nurse-pati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warmth and being aloof, acceptance and reject, trust and mistrust, objectification, reassurance and encouragement. And essential themes of nurses' experiences of the psychiatric nurse-pati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accomplishment and powerlessness, empathy and one sided manner, overinvolvement and distancing, a sense of mission and a sense of the daily routine, self-reflection.

1)Essential themes of patients' experiences

The first essential theme is warmth and being aloof; Psychiatric patients experienced warmth and aloof through nurses' nonverbal behaviors; nurse's facial expressions, smiles, eye contacts, eye expressions, voice tones, ways of talking and gestures.

The second essential theme is acceptance and rejection; Psychiatric patients revealed their thoughts and feelings when had been feeling them accepted by the nurse through nurse's active listening behaviors. But psychiatric patients experienced of rejecting by nurses when nurses wouldn't understand their suffering and adjusted patients to their views and needs, and to be driven cornered and communicated by the direct authoritative manner. In these circumstances, psychiatric patients closed themselves.

The third essential theme is trust and mistrust; Psychiatric patients experienced trust through the nurse's genuineness, the resonable attitude, verbal intervention. And mistrust was experienced when nurses couldn't access their emotional and

physical status exactly, and had communicated with patients on the inconsistent and an uncertain altitude.

The forth essential theme is objectification; Psychiatric patients had been anticipating an image of the mother, counselling teacher, girl friend.

The fifth essential theme is reassurance and encouragement;

Psychiatric patients experienced reassurance and encouragement by feeling of stable and being protecting when had been by nurse being at patient's side all the time

2)Essential themes of nurses' experiences.

The first essential theme is accomplishment and powerlessness; Nurses experienced of accomplishment when psychiatric patients accepted nursing behaviors and expressed their accepting by verbal, nonverbal responding and when patients recovered from acute psychotic symptoms by nurse's supporting patients. Otherwise powerlessness was experienced when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remains the same with all nursing behaviors, and when couldn't control patient's psychotic symptom and emotional responses to the patient's psychotic behaviors.

The second essential theme is empathy and one sided manner; Nurses wished to help patients and experienced of understanding patient's situation and they felt opening each other and being glad to patient's showing positive changes. But nurses communicated one sided manner of requesting and urging patients to changes for the better when patients wouldn't respond to all nursing behaviors.

The third essential theme is overinvolvement and distancing; Nurses recognized that their private feelings had affected to nurse-patient relationship. They realized attachment and avoidance on the certain patient, popularity patients, a prejudiced view, identification of the patient and overinvolvement of feelings.

The forth essential theme is a sense of mission and a sense daily routine; Nurses communicated with patients in the stereotyping behaviors because of being accustomed to daily nursing care and become dull in patient's repeat recurrence.

The lasting essential theme is self reflection'; Nurses exerted their efforts to help patients by the therapeutic use of herself.

In views of this results, psychiatric nurse-pati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improved on the basis of nurse-patient reciprocity.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31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