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 478

Cited 0 times in

재해피해가족에 대한 복구지원 프로토콜 개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옥철-
dc.date.accessioned2015-11-22T06:44:45Z-
dc.date.available2015-11-22T06:44:4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314-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간호는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간호대상자의 성장발달과 건강증진을 촉진하고 돕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재해로 인한 환경의 급작스런 변화는 개인과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에 부정적으로 영향하게 되고 적절한 복구지원 없이는 일상생활의 영위는 물론 기본적인 건강문제조차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최근 산업발달과 편의 위주의 기술사용에 의한 환경파괴, 집단의 이해상충, 그리고 지각변동과 이상기후에 의해 전세계적으로 재해발생은 증가추세에 있고,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재해는 예방이 우선되어야 하겠으나 불가피하게 재해가 발생할 경우 피해를 최소화하고 빠른 시일 내에 복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재해피해가족에 대한 복구지원의 종류를 목록화하고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이를 근거로 한 효율적인 복구지원 프로토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재해피해가족에 대한 복구지원 내용은 문헌고찰을 통해 26개의 지원내용을 수집하고 이를 안전, 급수, 급식, 위생, 의료서비스, 교육 및 정보 등 6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한 도구는 응답자인 가족대표의 일반적 특성과 재해피해정도, 복구정도, 지원내용별 제공자·제공시기·적시성(timeness)·접근성(accessability)·유용성(availability), 그리고 최근에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정도를 포함하였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1998년 8월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은 경기북부지역 내 의정부시와 동두천시에 거주하는 재해피해가족 503세대를 편의 추출하여 각 세대의 가족대표를 조사대상자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복구지원 내용은 제공자 및 제공시기별 적시성·접근성·유용성에 대한 1:1 대응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의 내용타당도를 높이고 보완하기 위해 재해피해 가족대표 11명과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면담내용을 6개 복구지원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응답자의 인명피해에 있어서는 수해로 인한 사망이 2건이었으며, 480건의 수해관련 질병이 발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관련질병은 피부질환, 감기, 스트레스성 질환, 설사의 순으로 많았으며, 말라리아, 수두 등도 각각 1건씩 있었다. 재산피해는 대부분 (97%)의 가옥이 침수 또는 파손되었고, 조사 당시 완전복구(70%)되었거나 복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복구지원의 주요 제공자는 통·반장을 포함한 담당공무원이 많았는데, 심층면담에서도 형평성과 적시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여 일치성을 보였다. 기타 자원봉사단체, 군인, 친지가 대응분석 상 크게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시기에 있어서는 가옥복구용 무상지원금의 경우(2-3주 사이)를 제외하고 모든 지원이 수해 후 즉시 또는 1주일 이내에 제공되었을 때 적시성과 유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가 경험하는 최근의 스트레스 정도는 학력이 높을수록, 피해정도가 적을수록, 그리고 복구정도가 높을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재해피해가족에 대한 복구지원 프로토콜을 6개 지원영역을 중심으로 개발하였으며, 복구지원 내용별로 인적, 물적 자원의 제공시기와 제공방법을 제시하였다. 영역별 복구지원의 내용은 대상자에 따라 대피소이재민과 재가이재민의 경우로 구분하였으며, 재해발달단계 중 응급복구기간인 재해 발생 후 7일이내의 복구지원을 중점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재해라는 특별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복구지원서비스와 관련된 개념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프로토콜화 함으로써 실무이론을 구축하고, 재해복구지원을 건강의 관점에서 다루어 관련 서비스 제공에 있어 간호가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계기를 마 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재해복구지원의 효율성 제고와 수혜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제공자는 프로토콜을 활용하도록 제도화할 것과 향후 이재민 대피소관리, 지원서비스 요구도 산정 체크리스트, 자원봉사자관리, 재해 유형별 의료서비스 지침 등을 계속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restoration protocol for flood victims, which will serve as a guide for a more effective restoration program. For the study, 503 families from two cities in Kyunggi-do, which were flooded in 1998, were surveyed, and 11 individuals from the same areas were selected for indepth-interview to validate and compliment the survey results. The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disaster loss(death, disease, house damage, income loss), timeness, accessibilities, availabilities of each support, and the respondent's stress leve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program. Correspondence Analysis was done for 1 : 1 correspondencies between time, provider and timeness, accessibilities, availabilities respectively. The content analysis of indepth-interview was done. The results of survey were as follows : 1. Among 503 families, two experienced death of family members. There were 381 cases of disaster related diseases, mainly skin problems, cold, stress symptoms, and diarrheas in that order. 2. Most of houses(97.0%) were immersed or damaged during the flood, and only 70% of them were restored a year after the flood. 3. Less than half of respondents(45.2%) answered the support on time, and more than half(60.0%), easy accessability to the support. Half(50.0%) of respondents reported the support as a big help. 4. Majority of support given by either the local government or community leaders were considered effective. This finding was confirmed in indepth-interview. 5. The respondents reported the support timely and helpful when they were given within one week of the disaster with one exception of financial support for housing. 6. The stress level of respondent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education and the level of restoration of house positively, and the level of damage of house negativ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 restoration protocol for the flood victims was developed in 6 categories ; safty, water, food, sanitation, medical service, and education & information. The protocol was schematized focusing on emergency relief activities on the continuum of disaster proces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tocol, and to develop rapid need assessment scale, and guidelines for shelter management. Also a disaster medical service protocol needs to be develop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재해피해가족에 대한 복구지원 프로토콜 개발-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a restoration protocol for the flood victim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Ok Cheol-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