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588

Cited 0 times in

광중합형 레진에서 초기 저광도 광중합 및 연마시기가 변연부 미세 누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low-intensity curing and polishing period on marginal leakage of composite 
Authors
 이상훈 
Issue Date
2000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들어 증가된 심미적 요구와 수은의 유해성에 대한 논란으로 아말감 대체재로서 광중합형 레진의 사용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광중합형 레진의 경우 중합시 필연적으로 중합 수축이 발생하며 이 중합 수축은 내부 응력으로 작용하고 이는 변연부 미세 누출을

야기 하는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를 줄이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중합형 레진 충전시 초기 광조사 광도 변화 및 연마 시기가 변연부 미세 누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전한 45개의 발거된 사람 치아의 협면 또는 설면에 와동을 형성하고 산부식 후 접착 전처치제(Prime & Bond NT(R))와 복합 레진(Spectrum(R))을 통법대로 충전하였다. 1군은 초기 고광도 중합군으로 600mW/cm**2로 41초간 연속 광중합 후에 연마를 시행하였고, 2군은 초기 저광도 광중합 후 즉시 연마군으로 300mW/cm**2로 2초간 광중합 후 즉시 연마를 시행하고 그 후 다시 600mW/cm**2로 40초간 광중합하여 전체 광조사량은 1군과 동일하게

하였다. 3군은 초기 저광도 중합군으로 300mW/cm2로 2초간 광중합 후 5분간 레진의 flow를 부여한 후에 600mW/cm**2로 40초간 광중합 하고 그 후에 연마를 시행하였다.

모든 시편은 24시간 실온에 보관 후 5℃와 55℃에서 1000회의 thermocycling을 시행하였다. 그 후 와동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면에 nail vanish를 도포 후 2% methylene blue 염색 용액에 24시간 침전하여 염색하고 Minitom으로 협설면으로 수복물의 중앙에서 시편을 절단하고 40배율의 쌍안 입체 현미경으로 염색 침투도를 평가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3군인 초기 저광도 중합군이 1군인 초기 고광도 중합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변연부 미세 누출을 보였다(p<0.05).

2. 2군인 초기 저광도 중합 후 즉시 연마군과 1군인 초기 고광도 중합군 사이에는 유의성 있는 변연부 미세 누출의 차이가 없었다(p>0.05).

이상의 실험 결과 광중합형 레진에 있어서 초기에 저광도로 광중합시에는 변연부 미세누출을 감소시킬 수는 있었으나, 초기 저광도로 광중합 후 즉시 연마를 시행하는 경우에는 변연부 미세 누출을 감소시킬 수 없었다. 1급 와동같이 중합시 중합 수축에 의한 내부 응력이 큰 경우에는, 초기 저광도 광중합으로 레진의 중합 수축을 보상할 수 있는 flow를 충분히 부여하여 응력을 감소시키고 연마는 중합이 보다 안정된 뒤에 시행하는 것이 변연부 미세 누출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For more esthetic treatments the use of composite in molar areas are increasing. But polymerzation shrinkage that cause marginal leakage and cuspal deflection has been the problems of composi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low intensity curing and polishing period on marginal leakage.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buccal or lingual suface of forty five sound extracted human teeth and etching, application

of bonding agent and filling of composite was done.

Group 1 was light cured at intensity of 600mW/cm**2 for 41 seconds and polished.

Group 2 was light cured at intensity of 300mW/cm**2 for 2 seconds and polished and after polishing it was light cured for 40 seconds at 600mW/㎠.

Group 3 was light cured at intensity of 300mW/cm**2 for 2 seconds and waited for 5 minutes and after curing at 600mW/cm**2 for 40 seconds polishing was done.

The specimens were thermocycled at 5℃ and 55℃ for 1000 cycles and immersed in 2% methylene blue solution for 24 hours. Composite-tooth interface was examined under stereobinocular microscope for dye penetration.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roup which were cured at low intensity and polished after curing at high intensity showed less marginal leakage than group which were cured at high intensity for 41 seconds.( p<0.05)

2. Marginal leakage between group which were cured at low intensity and polished immediately and group which were cured at high intensity for 41 seco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Light curing at low intensity can reduce marginal leakage but polishing immediately after curing at low intensity for short time can affect marginal leakage.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24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