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797

Cited 0 times in

여성 경도 알쯔하이머형 치매군, 치매의심군 그리고 비치매 대조군간의 신경인지기능 비교

Other Titles
 (A) neurocognitive assessment : mild dementia of alzheimer type, questionable dementia, and non-demented elderly 
Authors
 이은하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치료에 있어서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임상적으로 치매의 진단 기준을 맞추지는 않으나, 주관적인 기억력 저하의 호소와 인지적으로 정상이 아닌 치매의심군이란 개념이 소개되었으며, 1982년 Hughes등은 임상치매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이하 CDR)란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그 CDR점수가 0.5점인 대상을 치매의심군으로 정의하였다. 치매의심군에 대한 장기간의 추시를 통하여 치매의심군은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매우 조기단계(very early stage)일 것이라는 주장을 하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진단에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예민한 도구는 적절한 문진(good history)과 신경인지기능학적 평가를 통한 이차성 기억력 특히 지연회상(delayed recall)의 장애를 확인하는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에 치매의심군을

진단하기 위해서 치매의심군의 신경인지기능학적 특징을 아는 것은 치매의심군의 진단과 치매로 진행할 지의 여부를 결정짓는 예측인자를 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 알쯔하이머형 치매군, 치매의심군 및 비치매대조군 간의 주의력, 기억력, 시지각공간능력, 언어능력 및 고위피질기능 등의 신경인지기능을 비교함으로써 치매의심군의 신경인지기능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광주군 정신보건센터의 노인 낮병원에 등록된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 중 경도 알쯔하이머형 치매군 5명, 치매의심군 9명 및 비치매 대조군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관성 치매를 배제하기 위해 Hachinski 허혈지수상 4점이 넘는 경우와,

우울증상의 신경인지기능 평가에 대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단축형노인우울척도(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이하 SGDS)상 8점이 넘는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진단은 노인 낮병원 퇴원시점에서 치매연구회의(노인정신과 전문의, 정신과 전문의

, 전공의, 임상심리사, 사회사업사, 간호사 각 1인으로 구성)에 의해 진단과 통계 편람 IV 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이하 DSM-IV) 및 CDR을 기준으로 내렸다. 주의력은 Wechsler 기억검사 수정판(Wechsler, 1987: 이하 WMS-R)의 소검사인 숫자따라하기(Digit span), 도형따라하기(Visual span) 및 비엔나검사총집(Schufried, 1993: 이하 Vienna test system)의 소검사인 지속적주의력(Continuous attention)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기억력은 WMS-R의 논리적기억력(Logical memory)의 즉각회상(Immediate recall)과 30분 지연회상(Delayed recall), 언어적연상학습(Verbal paired associate learning)의 즉각회상, 쉬운짝연상(easy pair)/어려운짝연상(hard pair)과 30분 지연회상, 쉬운짝연상/어려운짝연상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시지각공간능력 중에서 시지각능력(Visual perception)은 WMS-R의 시각기억검사를 응용하여 평가하였고, 시공간능력 (Visuospatial abilities)은 신경 행동학적인지상태검사(Neurobehavioral Cognitive Screening Examination: 이하 NCSE)의 구성능력검사(Construction)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언어능력은 한국판 성인용개인지능검사(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이하K-WAIS)의 이해력검사(Comprehension) 및 한국신경인지기능연구회의 신경인지검사집상의 실어증등급척도(Aphasia severity rating scal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고위피질기능(Higher cortical function)은 NCSE의 유사성검사(Similarity), 판단력검사(Judgment), Go-No-Go 검사, Vienna test system의 가설형성검사(Hypotheis formation test), 보속증 검사(Perseveration test)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진단을 독립변수로, 각종 신경인지기능검사의 결과를 종속변수로 설계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유의한 차이를 보인 종속변수에 대해서는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도 알쯔하이머형 치매군 5인, 치매 의심군 9인 및 비치매 대조군 14인을 대상으로 신경인지기능을 평가한 결과, 언어적연상학습의 즉각 회상중에서 쉬운짝연상(경도 치매군, 치매의심군, 대조군 각각 4.80±3.34,6.0±2.0, 8.85±2.14), 구성능력검사(0.50±0.58, 1.00±1.55, 3.50±1.87), 실어증등급척도(2.83±0.40, 3.78±0.67, 4.71±0.47), 유사성검사(2.80±3.56, 2.11±1.54, 7.36±1.98)에서 치매의심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고, 경도치매군과는 수행정도 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치매의심군의 인지적 특성이 정상노화보다는 알쯔하이머형 치매에 가깝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치매의심군은 정상 노화라기 보다는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전 단계일 가능성이 시사된다.

[영문]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fferentiate the mild dementia of Alzheimer type from the questionable dementia and non-demented elderly using the neurocognitive assessment.

Subjects were consisted of 28 women (14 non-demented, 9 questionable dementia, 5 mild dementia of Alzheimer type) registered to Kwangju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The diagnosis were made using DSM-IV, Clinical Dementia Rating Scale.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were assessed with following test tools 1) attention : Digit span, Visual span, Continuous attention; 2) memory: Logical memroy, Verbal paired associates-easy/hard 3) visual perception and visuospatial ability: Visual

recognition test, Construction; and 4) language: Comprehension and Aphasia severity rating scale; 5) higher cortical function: Hypothesis formation, Perseveration, Similarity, Judgment, and Go-No-Go test. Group differences were analyzed with one way ANOVA test in SPSS 8.0 for win and LSD method as post-hoc analysis.

The questionable dementia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Verbal paired associates-easy pair, Construction, Aphasia severity rating scale and Similarity from the non-demented normal control group but showed no difference from tole mildly demen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questionable dementia is

actually very early or very mild stage of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36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09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