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61

Cited 0 times in

중심성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서 감각망막박리의 변화

Other Titles
 (The) changes of sensory retinal detachment in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patients 
Authors
 김형국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중심성장액맥락망막병증은 감각망막박리가 발생하므로써 시력의 감소, 변시증, 소시증과 중심암점 등의 중세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감각망막박리는 안저검사나, 형광안저 촬영, Optical coherence tomograph를 이용한 이차원적 기술로는 망막하액의 용적과 그변화를 정량적, 입체적으로는 살펴 볼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중심성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서 감각망막박리의 형태 및 망막하액의 변화를 보기위해, 레이저 주사와 컴퓨터 합성을 통해 삼차원적으로 망막의 변화를 볼 수 있는 laser scanning tomography의 일종인 Heidelberg retina tomograph(HRT)를 이용하여 감각망막박리 형태의 정량적 기술과 함께, 시간 경과에 따라 그 변화를 시력의 호전 및 증상의 소실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중심성장액맥락망망병증 환자중 감각망막박리가 있었던 28명 28안을 대상으로 초진시 시력 및 증상과 HRT를 촬영하여 감각망막박리의 가로, 세로, 높이 그리고 넓이 및 부피를 살펴보았고, 1개월 간격으로 시력호전 및 증상소실이 있을 때까지 추적관찰하였다. 초진

시 감각망막박리의 단면은 가로가 2.86±1.08 mm, 세로는 2.60±0.97 mm 인 타원형이었고, 높이는 0.30±0.10mm, 넓이는 6.82±4.70 mm**2 이었으며, 부피는 0.77±0.68 mm**3 이었다.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7안의 경과 관찰기간 동안, 증상의 소실 보다 시력의 호전이 선행하였으나 통계상의 의미는 없었다. 또한 감각망막박리는 시간경과에 따라 소실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초진 후부터 1개월 사이에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다. 시력이 호전된 시기의 감각망막박리 면적은 평균 52.3% 감소하였으며, 부피는 87.4% 감소하여, 시력 호전시 감각망막박리의 면적보다 부피가 많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Patients with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omplain of decreased vision, micropsia, metamorphopsia, and central scotoma due to sensory retinal detachment.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y retinal detachment were described using Heidelberg retina tomograph. Also, the changes in morphology according to certain time interval were inspected and correlated with the changes in visual acuity and symptoms.

The mean width, length, height, area and volume of the detached sensory retina of the 28 eyes at initial examination were 2.86 ± 1.08 mm, 2.60±0.97 mm, 0.30±0.10 mm, 6.82±4.70 mm**2 and 0.77±0.68 mm**3, respectively. Of the 7 eyes that were followed up, improvement of vision preceded improvement of symptom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tent of sensory retinal detachment reduced with time and the maximal reduction occurred during the first month from the initial visit. The volume reduction (87.4%) was greater than the area reduction (52.3%) at the time of visual improvemen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40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03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