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773

Cited 0 times in

측두엽 간질 환자에서 T2이완영상의 진단적 의미

Other Titles
 Diagnostic values of T2 relaxometry in temporal lobe epilepsy 
Authors
 천영직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신경학적으로 부분 간질의 약60%는 측두엽에서 기인하며 특히 해마(hippocampus)는 부분 발작의·가장 흔한 원인 병소이다. 이러한 측두엽 간질의 진단은 특징적인 임상 소견, 뇌파 검사, 여러 가지 영상기기를 통해 진단하며 편측화한다. 따라서, 측두엽 간질의 수

술 전 정확한 진단은 수술 후 예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방사선학적으로 측두엽의 해부학적 영상 및 기능의 평가를 위해 자기 공명 영상. 뇌혈류 SPECT, PET 등 여러가지 영상기기가 시행되며 이들의 종합적인 소견이 뇌파 검사와 더불어 지금까지 측두엽 간질의 진단에 기본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영상기기의 급속한 발전으로 자기 공명 영상에서 측두엽의 해부학적 영상과 더불어, T2이완영상(Relaxometry)과 용적영상(Volumetry)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측두엽 간질에서 용적명상은 97%의 진단적 민감도를 가진다고 보고되는 등, 자기 공명 영상에 대한 그 유용성이 많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T2강조영상은 뇌실질내 정상조직과 병리적 이상조직간의 구별이 우수하고, 병변이 있는 해마는 약 37-70%에서 T2이완시간의 연장에 따른 T2강조영상에서 고신호 강도를 보이게 된다(Jackson등, 1993). 따라서 T2의 원리를 이용한 T2이완영상은 해마 경화증에

서 T2이완시간의 정량적 측정에 매우 유용하고, 특히 반대측에 비해 미묘한 변화만을 보이는 경우나, 양측성 병변 및 뇌실질 이상의 종적변화에 대한 추적 검사 등, T2신호강도의 이상에 대한 객관적 판단기준에 의미가 크다(John등,1996). 지금까지 문헌상 보고된

정상 측두엽의 T2이완시간은 99-116 msec의 참조치(reference range)를 가지며, 측두엽 간질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해마 고유T2이완시간이 특히,T2강조영상으로도 시각적 진단이 가능했던 모든 측두엽 간질 환자에서 측정된 고유T2이완시간이 116 msec이상으로 증가되어 있었다고 보고하였으나(Jackson등, 1993), 최근 측두엽 간질에, 평균값에서 표준편차의 2배 값을 기준으로 진단기준을 설정할 때 75%의 진단율만 가진다고 보고된 바도 있다.

자기공명의 원리를 이용한 T2이완 영상을 위한 CPMG스핀에코 펄스열을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변형하고 영상화 프로그램이 가능하여 국내에서 처음으로 T2이완영상을 구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마에 대한 정상 T2이완시간 참조값을 구하고, 측두엽 간질 발작환자에 적용하여 보았고, 환자의 성별, 나이, 간질의 유형, 총 횟수 및 기간에 대한 증가된 T2이완시간의 연관성과 이 들의 T2이완영상을 실제로 편측화하여 수술한 측에 대해 고식적 자기 공명 영상, 용적영상, 뇌혈류 SPECT 및 뇌파 검사를 통한 편측화와 비교함으로써 그 진단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결과는 10명의 정상 대조군의 T2이완 시간은 평균 68.6 msec ,표준편차 3.4 msec, 표준오차 0.764 msec로 67.4 -70.4 msec의 범위를 지니며, 이미 발표된 99-106 msec보다는 매우 낮게 계산되었다. 그러나, 이 값을 적용하였을 때 병리 조직학적으로 해마위축을 발견한 12명 모두, 편측 또는 양측 해마에서 T2이완 시간이 평균 78.9 msec, 표준편차 4.3, 표준오차 1.2로 76.4-81.3 msec의 범위를 보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수술측과 비교시 91.7%의 진단율을 보였다. 한편, 고식적 자기 공명 영상은 91.7%, 용적영상은 100%의 진단율로 수술측과 일치하였으나 양측성 병변의 진단에 있어서 고식적 자기공명 영상은 2예에서 의심되었고 용적영상은 양측성 병변의 진단이 어려웠으나 T2이완영상은 4예에서 의심되었다. 한편, 증가된 T2이완시간과 자기 공명영상소견사이에는 의미있는 연관성을 찾기 힘들었으며, 뇌혈류 SPECT는 90.9%의 진단율을 보여 T2이완영상의 진단율과 비슷하였다. 뇌파 검사는 전례에서 수술측과 일치하였다.

측두엽 간질 환자의 성별, 나이, 간질 기간 및 총 횟수와 증가된 T2값 사이에는 의미 있는 연관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행한 T2이완영상에서 해마의 정상 T2이완시간은 67.4 -70.4 msec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이 값은 측두엽 간질 환자의 진단및 편측화에 있어서 유용하였으나, 양측성 병변의 진단적 예민도는 검증할 수 없었고 환자의 임상 소견사이에 의미있는 연관성은 없었다. 그러나 T2이완영상은 측두엽 간질 환자에서 뇌혈류 SPECT, 뇌파 검사 및 자기 공명 영상 소견, 용적영상과 함께 사용하였을 때 진단 및 편측화에 대해 좀 더 신빙성을 높여주는 객관적 진단적 도구로서 활용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The hippocampus is the most common site of seizure origin in partial epilepsy, and hippocampal sclerosis is 7he most common pathology inpatients undergoing temporal lobectomy. The diagnosis and lateralization of temporal lobe epilepsy is made by its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EEG and many imaging modalities.

Then, identifiable pathology, such as hippocampal sclerosis, is associated with a good outcome from surgery. Radiologically, those routine diagnostic modalities in temporal lobe epilepsy include MRI for anatomic imaging, brain SPECT, PET with

clinical informations. Meanwhile in the recent years, rapid progress in MR imaging modalities developed T2 relaxometry and volumetry.

T2 weighted MR images has superiority in discriminating normal tissue from histopathologic lesion, and in 30-70% of the cases, pathologic hippocampus reveals increased T2 signal intensity due to prolonged relaxation. Then, Quantitative assessment of 72 relaxation time is very useful modality and proposes the objective criteria for diagnosing subltle gliosis, useful following modality and bilaterality. In previous reports, T2 reference range of hippocampus in normal control group was suggested from 99-106 msec, and all cases, which were visually

diagnosed of hippocampal sclerosis, had 72 values over 116 msec

Meanwhile, in the first time in this country, we have developed T2 relaxomety for clinical application by some modification of offered CPMG sequence, so we have tried to obtain our own normal T2 reference ranges and studied its diagnostic usefulness in temporal lobe epilepsy as comparing other imaging tools.

The calculated T2 value in 10 normal control group ranges from 67.4-70.4 msec,which was much low from previous reports.

The application to each 12 temporal lobe epilepsy patients, histopathologically proven, reveals statistically increased hippocampal T2 values and 91.7% diagnostic accuracy rate. The MR image and volumetry had 91.7 and 100% accuracy in lateralization. In the bilateral lesions, T2 relaxometry suggested 4 cases but

volumetry was not useful and MR image suggested 2 ca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creased T2 values and clinical manifestation, such as sex, age, seizure duration and frequency, but there might be some bias from small number of patients and clinical records.

In the conclusions, we obtained 67.4-70.4 msec for normal hippocampal reference ranges in our own modified sequences ,which is much lower than previously reported data.

But, i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is value to temporal lobe epilepsy patients, T2 relaxometry was effective and useful modality in diagnosis, lateralization and promising superiority in diagnosis of bilatrality, although which was not confirmed, pathologicall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65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96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