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945

Cited 0 times in

기관내 흡인시 달래기 젖꼭지(Nonnutritive sucking)가 미숙아의 행동상태와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nonnutritive sucking on behavioral state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premature infants 
Authors
 유미영 
Issue Date
1999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달래기 젖꼭지(Nonnutritive sucking)가 기관내 흡인을 시행하는 미숙아의 행동 상태와 생리적 반응(심박동수와 산호포화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대상자내 반복 실험 연구이다.

1998년 10월 10일에서 12윌 10일까지 총 2개월에 걸쳐 서울 소재 5대학 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중에서 연구 대상에 적합한 기관내 삽관을 하고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37주 미만의 미숙아 10명을 전수 조사하였다. 같은 대상자 내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순서는 비확률 임의 표출을 이용하여 총 19쌍을 자료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Anderson Behavioral State Scale(ABSS)을 이용하여 행동 상태를 측정하였다. 12개의 항목으로 행동 상태를 측정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크게 5가지로 분류하였다. 생리적인 반응은 미숙아에게 연결된 심페모니터를 통해 심박동수와 산소포화도를 측

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일한 미숙아에게 NNS를 제공한 경우(실험군)와 제공하지 않은 경우(대조군)는 행동 상태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관 흡인 후 단계에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조용한 수면 상태가 더 많이 나타나고, 불안정하게 깨어있는 상태는 적게 나타났다.

2. 동일한 미숙아에게 NNS를 제공한 경우와 제공하지 않은 경우에 기관내 흡인전, 중, 후의 심박동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동일한 미숙아에게 NNS를 제공한 경우와 제공하지 않은 경우에 기관내 흡인전, 중 후의 산소포화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볼 때, NNS의 제공은 기관내 흡인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으로 인한 불안정한 행동 상태를 빠르게 안정 상태로 회복시켜 주며, 미숙아에게 NNS를 제공하여도 추가로 요구되는 산소 소모가 있다고 볼수 없으므로 기관내 삽관을 하고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미숙아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간호 중재임이 검증되었다. 또한 NNS의 제공이 심박동수와 산소포화도 같은 즉각적인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보다는 행동의 구조화를 통한 에너지 보존과 발달 증진같은 장기적인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NS on behavioral state and physiological response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in premature infants receiving assisted mechanical ventil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0 to December 10, 1998 from 10premature infants who were less than 37 weeks of gestational age and receiving assisted mechanical ventilation.

The research design is repeated measure within-subject quasi-experimental design to control characteristic of premature infants.

The Anderson Behavioral State Scale(ABSS)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premature infants' behaviors. The ABSS classified infants behaviors into 12 states.

In this study, behavioral state ratings were collapsed into five categories.

The heart rate and oxygen saturation levels were recorded from the Hewlett Packard patient monitor which was attached to each premature infant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were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behavioral state between the NNS cases and non-NNS ca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postsuctioning assessment, the quiet sleep state was more frequent and active awake state was less frequent in the NNS cases. The fin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 < .05 level.

2. The mean heart rate in both the NNS cases and non-NNS case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3. The mean oxygen saturation in both the NNS cases and non-NNS case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clusion, for the intubated premature infants who must routinely endure stressful and often painful procedures that are unavoidable in treatment, NNS is a effective and safe nursing intervention. NNS may effectively modify behavioral state in terms of energy expenditure and bring these preterm infants to the least energy consuming stat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54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94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