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374

Cited 0 times in

제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연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ostsurgical soft tissue changes of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ccording to hard tissue changes 
Authors
 정희선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골격의 부조화가 심한 제Ⅲ급 부정교합자는 교정치료를 동반한 악교정 수술을 통하여 저작, 발음, 교합 안정성 등의 기능적인 면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면에서도 개선이 된다. 악교정 수술을 받는 환자의 대부분은 심미적인 향상을 염두에 두고 수술에 동의하게 되며 치료의 결과에 대한 환자와 가족들의 평가 역시 연조직 변화에 의한 안면의 균형관 조화를 기준으로 내려지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악교정 수술 후 연조직 측모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여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경조직 계측점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이나 수직 기준선 상에서 이루

어졌다. 본 연구는 술 후 심미적 평가의 기준이 되는 각 연조직 계측점의 위치를 예측하기 위하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제Ⅲ급 부정교합자로 진단받고 상악은 Le Fort 제I급 수술로 후부 상방이동 이동하고 하악 상행지 수직 골절단술을 시행한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전과수술 후 6개월에서 1년 후 2장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계측하여 수술 계획 수립시 기준이 되는 각 경조직 계측점과 술 후 심미적 평가의 기준이 되는 각연조직 계측점의 변화량의 상관관계와 변화량을 구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경조직 계측점과 연조직 계측점사이의 수평적 변화 사이에서 특히 Cm은 ANS(0.55) 및 A(0.45)와 Sn은 Ul(0.63)과, Ls 및 Li는 Ll과(0.61, 0.65), Si는 B point(0.94)와 Pg'는 Pg, 및 Me(0.92, 0.98)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직적 변화는 상관관계가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

2. 상악골의 이동에 따라 Cm은 A point의 전방이동량의 70%, 하방이동량의 18% 이동하였고, Sn은 U1의 전방이동량의 45%, 하방이동량의 33% 이동하였다.

3, 하악골의 이동에 따라 Li는 Ll의 후방이동량의 78%, 상방이동량의 33% 이동하였다. Si는 B point의 후방이동량의 87%, Pg의 상방 이동량의 38% 이동하였다.

Me'은 수평적으로 Pg의 98%, Me의 82% 정도 후방이동 하였으나 수직적으로는 유의성 있는 계측항목이 없었다.

4. 단순회귀 분석에 의한 방정식에 의하여 경조직의 위치 이동량에 따른 술후의 연조직 위치를 구하였다

상악에서 △Cm = ( 0.54△A^^h -0.8, 0.22△A^^v +O.5)

△Sn = (0.44△Ul^^h -1.9,0.35△Ul^^v +0.2)

하악에서 △Si = ( 0.89△B^^h -0.2, 0.46△B^^v -1.5)

△Pg'= (0.98△Pg^^h -1.1,0.73△Pg^^v +1.4)

(h :수평적 위치, v . 수직적 위치)

[영문]

Class Ⅲ malocclusion patient with severe skeletal discrepances can achieve improvements not only in functional aspects such as mastication, pronounciation and occlusal stability but also in esthetic aspects as a result of orthognathlc surgery accompanied by orthodontic treatments. Most patients who agree to go through with orthognathic surgery keep some esthetic improvements in their mind and also their evaluations on surgical results are based on facial balance and harmony which can be affected by soft tissue changes.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enthusiastic studies to after more data in predicting the soft tissue profile changes after the surgery along with the faciliated teatment planning. However, most of the studies ended up in just a horizontal or vertical linear measures based on hard tissue

measurements so the author evaluated 21 patients (9 male, 12 female) who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and recieved Maxillar Le Fort I posterior impaction surgery and Mandibular intraoral vertical ramps osteotomy(IVRO) at dental hospital of Yonsei University in order to predict the locations of soft tissue measurements which are the criteria of esthetic evaluations after the surgery.

Two cephalograms taken just before the surgery(71) and 6 months to 1year after the surgery(72) were analyzed so the amount of each hard tissue measurements changes which serve as criteria in treatment planning and the soft tissue measurements which serve as criteria in esthetic evaluation were compared and the equation to predict their relative relationships and the amount of changes were achiev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1. In horizontal changes between the hard tissue measurements and the soft tissue measurements, C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ith ANS(0.55)and A(0.45), and Sn with Ul(0.63), also, Ls and Li with Ll(0.61, 0.65) and Si with

B(0.94) and Pg' with Pg and Me(0.92, 0.98) but vertical aspect showed l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2. In accordance with maxillary movements , Cm moved 70 % of anterior movements, 18% of inferior movements of A point, and Sn moved 45% of anterior movements, 33% of inferior movements of Ul.

3. In accordance with mandibular movements, Li moved 78% of posterior movements, 33% of superior movements of Li, and Si moved 87% of posterior movments of B point and 38% of superior movement of Pg.

Me'moved 98% of posterior movement of Pg, and 82% of Me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surments in vertical aspects existed.

4. Postsurgical soft tissue locations according to amount of changes in hard tissue locations were able to acquire by simple regression analysis equations.

In maxillar, △Cm = ( 0,54△A^^h -0.8, 0.22△A^^v +O.5 )

△SH = ( 0.44△Ul^^h -1.9, 0.35△Ul^^v +0.2 )

In mandible, △Si = ( 0.89△B^^h -0.2, 0.46△B^^v -1.5 )

△Pg'= ( 0.98△Pg^^h -1.1, 0.73△Pg^^v +1.4 )

(h: honzontal position, v: vertical posi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31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87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