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380

Cited 0 times in

비소세포 폐암에서 종양 혈관신생과 병기 및 예후와의 관련성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tumor angiogenesis, stage and progno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Authors
 김정주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영문]

[한글]

종양 신생혈관은 종양조직에 산소 및 영양물질을 제공하고 종양조직에서 발생한 산과

독성 대사물질을 제거하여 종양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며, 종양세포의 전신전이의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므로 종양의 혈관신생은 종양의 성장과 전이의 과정에서 필수적이다.

피부 악성흑색종이나 유암에서는 종양 혈관신생의 정도와 림프절 전이, 전신전이 및 예후

와의 관련성이 잘 알려져 있다. 종양 신생혈관의 발달 정도는 Factor Ⅷ related antigen

, CD3l(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PECAM) 및 CD34 등과 같은 혈관

내피세포 항원의 단세포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 후 광학현미경하에서 종양

신생혈관을 계수하여 판정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 폐암에서 CD3l 단세포 항체(JC7O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

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여 종양 혈관신생 정도를 파악한 후 종양 혈관신생 정도와 병기, 림

프절 전이, 전신전이 및 예후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아올러 조직학적

유형간에 종양 혈관신생 정도의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소세포 폐암의 조직학적 유형에 관계없이 Ⅲ^^A , Ⅲ^^B 병기의 환자에서 Ⅰ Ⅱ

병기의 환자에 비하여 종양 신생혈관의 수는 의미 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2. 림프절 전이가 있는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에 비하여 종양 신생혈관의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p>0.05). 그러나 선암종은 림프절

전이가 있는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에 비하여 의미있는 증가가 있었다(p<0.05

).

3. 선암종에서 편평상피세포 암종에 비하여 종양 신생혈관의 수는 의미 있게 증가되어

있었으며(p<0.05), Ⅰ, Ⅱ병기와 NO병기에서는 선암종에서 편평상피세포 암종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으며(p>0.05), Ⅲ^^A , Ⅲ^^B 병기와 Nl∼3

병기에서는 선암종이 편평상피세포 암종에 비하여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5).

4. 조기전이가 일어난 환자(12개월 이내에 전신전이가 발견된 환자)에서 조기전이가 일

어나지 않은 환자에 비하여 종양 신생혈관의 수는 의미 있게 증가되어 있었으며(p<0.05),

전체 대상의 평균 종양 신생혈관 수(100배 시야 당 40개)를 기준으로 종양 신생혈관의

수가 많은 환자(>40개/100배 시야)는 적은 환자(≤40개/100배 시야)에 비하여 전신 전이

율이 높았다(비교 위험도 10.83).

5. 동일한 조직학적 유형 및 병기에서 종양 신생혈관의 수가 많은 환자는 적은 환자에

비하여 생존기간이 짧았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p>0.05).

6. 전체 대상환자에서 종양 신생혈관의 수가 많은 환자(>40개/100배 시야)는 적은 환자

(≤40개/100배 시야)에 비하여 의미 있게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비소세포 폐암에서 종양 혈관신생은 병기, 림프절 전이(선암종에 한정되

어), 조직학적 유형 및 조기전이와 관련성이 있으며, 종양 신생혈관의 수가 증가할수록

전신전이율이 높고 불량한 예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동일한 조직학적 유형 및

병기에서 종양 신생혈관 수에 따른 예후의 차이를 증명할 수는 없었다. 이는 대상의 수

가 적어서 통계적으로 의미를 갖기 어려웠던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앞으로 더욱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Relationship between Tumor Angiogenesis, Stage and Progno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Kim, Chong Ju

Dept. of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umor angiogenesis is required for tumor growth and metastasi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whether intensity of angiogenesis correlates with stage, nodal status,

histologic type, metastasis and survival rate of non-small-cell lung cancer by

counting microvessels. Formalin fixed, paraffin embedded surgical specimen of 31

patients with primary non-small-cell lung cancer were examined. The microvessel was

demonstra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CD3l(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PEC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ithout regard to histologic type, microvessel counts in stage Ⅲ^^A and Ⅲ^^B

were more increased than in stage Ⅰ and Ⅱ (p<0.05).

2. Microvessel counts in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is were increased than

in patients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But in adenocarcinoma, microvessel counts in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i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in patients without lymph

node metastasis(p<0.05).

3. Microvessel counts in adenocarcinoma were more increased than in squamous cell

carcinoma(p<0.05). The difference between microvessel counts of adeno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tage Ⅰ and Ⅱ or NO

stage(p>0.05). But in stage Ⅲ^^A and Ⅲ^^B or Nl ∼3 stage, microvessel counts in

adenocarcinoma were more increased than in squamous cell carcinoma(p<0.05).

4. Microvessel counts in patients with early metastasis(metastasis within 12

months) were more increased than in patients without early metastsis(p<0.05).

5. In the same histologic type and stage, duration of survival in patients with

high microvessel counts was shorter than in patients with low microvessel count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6. Survival rate in patients with high microvessel counts(>40/x100 field) was

lower than in patients with low microvessel counts(≤40/x100 field)(P<0.05).

In conclusion, in non-small-cell lung cancer the microvessel counts correlated

with stage, nodal status(limited in patients with adenocarcinoma), histologic type,

postoperative metastasis and survival rate. But in the same histologic type and

stage, microvessel counts were not related to the duration of survival. Therefore,

it needs study for more patients, and assessment of the intensity of angiogenesi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could be helpful in predicting prognosis and in

selecting patients for systemic adjuvant therapy of potential metastasis according

to the result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47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86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