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597

Cited 0 times in

관 동맥 질환 환자에서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

Other Titles
 (The) onset of ischemic stroke in the coronary heart disease patients 
Authors
 조정훈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관 동맥 질환은 허혈성 뇌졸중 즉, 뇌경색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관 동맥 질환 이환 후 뇌경색의 발생률 및 발생 요인, 뇌경색 발생까지의 소요 시간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2 년 1 월초부터 199

4 년 12 월말까지 관 동맥 질환으로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에 내원하였던 2192 명을 대상으로 급성심근 경색군(554 명)과 협심증군(1638 명)으로 나누어 3 년동안 추적 관찰하여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기간, 뇌경색의 종류 등을 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192 명의 관 동맥 질환자 중 3 년 동안에 1.8 %에 해당하는 총 40 예의 허혈성 뇌졸중(일과성 허혈 발작 포함)이 발생하였다.

2. 전체 관 동맥 환자를 대상으로 했을 때 뇌경색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심방 세동(p<0.001)과 55 % 미만의 심박출 분율(p=0.034)이었는데 특히 심방 세동이 가장 강력한 영향 인자 였다(odds ratio=7.8201,95 % confidence interval=2.9281-20.8854).

3. 뇌경색의 발생은 3 년의 관찰 기간 중, 관 동맥 질환 진단 후 1 년 이내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60 %) 특히 1 개월 이내에 발생 빈도가 높았다(전체의 30 %, 1년 미만 발생예의 50 %). 이는 관 동맥 질환 종류와는 무관하였다.

4. 급성 심근 경색 환자와 협심증 환자간에 뇌경색의 발생률과 뇌경색 발생까지의 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급성 심근 경색 환자(554 명)의 경우 3 년 동안 2.5 % (14 예)의 뇌경색이 발생하였는데 뇌경색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나이(p=0.044)와 심방 세동(p=0.004)였고 뇌경색의 발생과 급성 심근 경색의 치료법과는 무관하였다.

6. 협심증 환자(1638 명)의 경우 3 년 동안 1.6 %(26 예)의 뇌경색이 발생하였는데 1) 심방 세동(p=0.0031), 2) 당뇨(p=0.0058), 3) 심장 비대(p=0.0057), 4) 고혈압의 유무(p=0.0228)와 뇌경색의 발생이 서로 연관관계가 있었고 뇌경색의 발생률과 협심증의 치료 방

법은 무관하였다.

7 전체 뇌경색 환자 및 급성 심근 경색 후 뇌경색 환자의 TOAST 분류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한 것은 심장성 색전 (cardioembolism)에 의한 것(각각 32.5 %, 42.9 %)이지만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도 상당수있었고 특히 협심증 진단 후 발생한 경우에는 죽상 혈전(atherothrombosis)에 의한 것이 가장 많았다(30.8 %).

결론적으로 관 동맥 질환 환자에서 심방 세동이 동반 될 경우 뇌경색의 발생 가능성은 상당히 높아지며 뇌경색의 예방 측면에서 심장성 색전 뿐만이 아니라 죽상 혈전, 소공성 원인 등에 의한 뇌경색의 발생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영문]

Coronary heart disease (CAD) has been known to be a risk factor of ischemic stoke. But, in Korea, there are no systeminized studies about incidence of cerebral infarction (Cl) after CAD, influencing factors and interval to cerebral infarction. So there is possibility of different result from previous studies in other countr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trobe influencing factors, interval and stroke type of 2192 CAD patients composed of myocardial infarction (Ml) (554 patients) and angina pectoris(1638 patients) who admitted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since1992 Jan. to 1994 Dec. through 3 year follow up. The results presented below.

1. After 3 year follow up of 2192 CAD patients, total 40 cases of ischemic stroke (included transient ischemic attack) developed.

2. Among total CAD patients, influencing factors of CI were atrial fibrillation (p<0.001) and ejection fraction lower than 55 %(p=0.034). Especially atrial fibrillation was the most powerful influencing factor (odds ratio=7.8201, 95 % confidence interval=2.9281-20.8854) .

3. CI occurrence was most frequent up to 1 year after diagnosis of CAD, (60 % of CI cases) especially highest frequency was demonstrated up to 1 month (50 % of among the CI cases within 1year), This pattern was same to all CAD types.

4. There were not any differences of incidence and interval to CI between acute MI and angina pectoris patients.

5. In MI (554 patients) patients 2.5 % (14 cases) incidence of Cl was demonstrated for 3 year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l occurrence were age (p=0.044)and atrial fibrillation (p=0.004). The outstanding treatment of minimizing CI occurrence was not demonstrated.

6. In angina pectoris (1638 patients) patients, 1.6 % (26 cases) incidence of Cl was demonstrated for 3 years and influencing factors of CI occurrence were 1) atrial fibrillation (p=0.0031), 2) DM (p=0.0058) 3)left ventricular hypertrophy (p=0.0057) 4) hypertension (p=0.0228).There was not an outstanding treatnlent which let CI occurrence minimalized in statistical analysis.

7. Cardioembolic CI was the most frequent type among tonal CI patients and Cl patients after Ml according to TOAST classification (32.5 %,42.9 % respectivly), but a few other types were also presented.

Especially in case of angina pectoris patients, atherothrombotic type was most frequent (30.8 %).

In result, if atrial fibrillation is combined to CAD, possibility of CI occurrence increase and in clinical aspect, not only cardioemboic but also atherothombotic and lacunar cause should be recogniz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32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85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