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623

Cited 0 times in

과천시 초등학생에서 제1대구치의 치아우식증 발생양상에 관한 2년간의 추적조사연구

Other Titles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on the pattern of dental caries development of first permanent molars in Kwachun eleme 
Authors
 조본경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치아우식증의 보다 효율적인 예방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1995년 당시 과천시 초등학교 1, 2, 3학년이었던 동일 아동들을 대상으로 2년 동안 치아우식증의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2년 동안 조사대상의 제 1 대구치에서 치아우식증의 발생정도와

발생부위 그리고 우식경험의 구성성분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맹출 후 초기 몇 년 동안 우식감수성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맹출 시기를 알 수 있는 치아만을 대상으로 맹출 후 2년 내의 치아우식증 발생정도를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년 동안 상악 제 1 대구치의 교합면의 20.8%, 설면의 14.0%에서, 하악 제 1 대구치의 교합면의 25.0%, 협면의 14.4%에서 새롭게 치아우식증이 발생하였다.

2. 2년 동안 상·하악 제 1 대구치의 건전치면에서 발생한 치아우식증에서 소와 및 열구 우식증이 각각 93.5%, 93.6%를 차지하였다.

3. 2년 동안 상·하악 제 1 대구치의 건전치면에서 발생한 우식경험치면 중 충전치면의 비율이 각각 76.9%, 77.3%로 나타났다.

4. 2년 동안 제 1 대구치의 건전치면에서 상악 치아의 경우 교합면의 15.7%, 설면의 4.5%에, 하악 치아의 경우 교합면의 15.7%, 협면의 2.3%에 치면열구전색이 시행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5. 1차 조사시점과 2차 조사시점 사이에 맹출한 제 1 대구치만을 대상으로 추적 조사한 결과 맹출 후 1년 내에 상·하악 제 1 대구치 교합면의 각각 9.9%, 11.9%에서, 맹출 후 2년 내에는 상·하악 제 1 대구치 교합면의 각각 15.8%, 17.8%에서 치아우식증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소와 및 열구를 포함하는 교합면 및 협·설면의 우식증의 예방이 매우 시급히 필요하며, 이를 위해 치면열구전색 사업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치면열구전색 사업은 맹출 시기를 고려하여 가능한 조기에 시행되어야 하며, 교합면뿐 아니라 협·설면의 소와 및 열구의 전색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영문]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s of dental caries development of first permanent molar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planning more efficient preventive strategy. The cohort of grade 1, 2, 3 children of Kwachun elementary school was fast examined in 1995 and examined again in 1996, 1997 by the same dentist. During the study period, we examined the pattern of dental caries development in respect to attack rate by tooth surface, severity of carious lesion, component of caries experience. Considering high susceptibility of dental caries during erupting stage and a few years after eruption, we also examined attack rate by tooth surface of first permanent molars that erupted between first and second examination within 2 years after erup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sound surfaces at first examination, 20.8% of occlusal surfaces and 14.0% of lingual surfaces of upper first permanent molars, 25.0% of occlusal surfaces and 14.4% of buccal surfaces of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were affected by dental caries over 2 years.

2. Of all caries that newly developed on upper and lower first permanent molar over 2 years, pit and fissure caries accounted for 93.5%, 93.6%, respectively.

3. Of all DMFS that newly occurred on upper and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over 2 years, FS component accounted for 76.9%, 77.3%, respectively.

4. Among sound surfaces at first examination, 15.7% of occlusal fissures and 4.5% of lingual fissures of upper first permanent molars, 15.7% of occlusal fissures and 2.3% of buccal pits of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were sealed over 2 years.

5. Among first permanent molars that erupted between fast and second examination, 9.9% of occlusal surfaces of upper teeth and 11.9% of occlusal surfaces of lower teeth were affected by dental caries within 1 year after eruption, and 15.8%, 17.8% were affected by dental caries within 2 years after erup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utiliza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must be expanded more widely to prevent the pit and fissure caries in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of dental health care delivery. It is considered from this study that pit and fissure sealant should be applied very soon after both eruption, and sealing of lingual fissure and buccal pit as well as occlusal fissure must be emphasiz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31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81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