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1144

Cited 0 times in

만성 C형간질환에서 C형간염바이러스 아형과 HCV RNA의 정량적 분석

Other Titles
 HCV subtypes and HCV RNA quantitation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HCV diseases 
Authors
 김영아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C형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는 다양한 유전적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여러 가지 HCV 아형(subtype)이 알려져 있고, 이 아형은 지역 및 간질환의 정도에 따라 분포가 다르고, 치료에 대한 반응정도 역시 아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C형간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아형 검사를 실시해 한국의 HCV 아형의 분포를 알아보았고, HCV 아형간 질병유발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간질환간 분포와 HCV 아형간 HCV RNA의 양적인 차이를 알아보았다.

HCV 아형은 연쇄중합효소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하거나 혈청학적 방법으로 결정하였고 HCV RNA는 branched DNA(bDNA)범으로 정량하였다. HCV 아형이 결정된 198명에서 가장 흔한 것은 Simmonds의 분류를 따랐을 때 1 형(1a, 1b, 1c 포함)이었고 전체의 70.2%(139/198)이었다. 만성 C형간질환을 가진 대상 환자들을 Ⅰ 군(만성간염군), 진행된 간질환군인 Ⅱ 군(간경변이나 간암) 그리고 무증상 보균자군을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보았을 때 간질환 진행정도에 따라서 HCV 아형의 분포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p=0.364, chi-square test) 모든 군에서 1 형이 가장 빈번히 관찰되었다.

이중 PCR을 이용한 HCV 아형(유전자아형)을 살펴보면 한국에서 가장 흔한 유전자아형은 1b 형(69.5%, l14/164)였고 그 다음이 2a 형(23.2%, 38/164)이었다. 대상군 Ⅰ 군(만성간염군), Ⅱ 군(진행된 간질환군) 및 대조군(무증상 보균자)간에 1b 형과 2a 형의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56, chi-square test).

혈청형 검사법으로 결정한 HCV 아형(혈청형)은 47명에서 결과를 얻었으며 가장 흔한 혈청형은 1 형(57.4%, 27/47)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2 형(42,6%, 20/47)이었다. 대상군에 따라 Ⅰ 군(만성간염군)과 Ⅱ 군(진행된 간질환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가장 흔한 혈청형은 각 군 모두 1 형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70, chi-square test).

HCV RNA를 정량한 결과 HCV 아형 1 형은 8.0±13.3 MEq/mL, 2 형은 2.2±3.5 MEq/mL로 HCV 아형 1 형에 감염된 환자에서 HCV RNA의 양이 더 많았다(p=0.016, Wilcoxon rank sum test).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국에서 가장 흔한 HCV 아형은 Simmonds의 분류법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 형이며, 이때 HCV RNA 양도 2 형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아형간 복제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현재 HCV 아형 검사법은 PCR법과 혈청형 검사법이 있는

데, 두 방법이 각각 분류법은 다르지만 각 방법에서 채택하고 있는 분류법을 상호 해석할 수 있으므로, 두 방법을 보완적으로 사용할 수 있겠다.



[영문]

There are several subtypes of hepatitis C virus(HCV) and it is reported that their distribution and response to treatment are different according to various HCV subtypes.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determine the HCV subtypes from the patients of chronic HCV infection in terms of clinical applications.

HCV subtypes were determined by multiplex PCR along with serological enzyme immunoassay(EIA) methods and viral load quantitation was done by branched DNA(bDNA) assay.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multiplex PCR and se개logical EIA were compared whether these tests could be used complementarily.

HCV subtype 1(Simmonds classification, 1a, 1b, 1c) was the most prevalent(70.2%, 139/198) in Korea. The distribution of HCV subtypes were net different in the patients' group Ⅰ(chronic hepatitis patients), group Ⅱ(advanced liver disease patients such as liver cirrhosis and hepatoma) and control(asymptomatic carriers) group(p=0.364, chi-square test).

We determined HCV subtypes not only with multiplex PCR method but also serological method(serotype) which based on Simmonds classification. This method detects HCV genotypes by detecting the antibodies against the NS4 region of C virus(Mizokami et at, 199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serotype between group Ⅰ and Ⅱ. The serotype 1 was the most prevalent form in both groups, followed by serotype 2. Other serotype were not detected.

The HCV viral loa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atients' group Ⅰ(4.3+7.4 mEq/mL) and group Ⅱ(7.3+14.4 mEq/mL). The viral load was quantitated using bDNA method which uses a principle of signal amplification rather than amplifying genome of the virus. The HCV viral load quantity was 8.0+l3.3 mEq/mL in 녀btype 1 and 2.2+3.5 mEq/mL in subtype 2 respectively. The viral loa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CV serotypes(p=0.016, Wilcoxon rank sum test).

The serotype results matched with the multiplex PCR methods in 85.7%(18/21) of cases. We confined the reproducibility of the serotpe results by comparing optical densities in repeatedly measured serum samples(r**2 =0.818).

Taken together, the HCV subtype 1(Simmonds et al 1993) is the most prevalent in Korea and the HCV viral load was higher in subtype 1. Currently, both multiplex PCR and serological serotypes were used for detecting HCV subtypes. Although these classification methods rely on different backgrounds, it is evident that the test results could be mutually interpretable. Therefore, these two methods could be applicable to the prediction of prognosis and the choice of method in treatmen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00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7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