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1335

Cited 0 times in

NICU 소음이 미숙아의 생리적 반응과 행동 상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NICU noise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behavioral state of premature babies 
Authors
 이혜정 
Issue Date
1997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신생아학의 진보와 NICU의 발전은 미숙아의 생존률을 현저히 증가시켰으나 NICU의 장기 입원 후 많은 미숙아들이 신경 및 운동 발달 장애의 후휴증을 보인다. 미숙아는 모든 신체 기능과 신경 기능이 미숙하여 자궁외 환경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며 NICU의 다양한 환경적인 과자극으로 미숙아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장단기의 생리적 반응과 행동상태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에 본 연구는 NICU의 과자극의 요인중 하나인 소음이 미숙아의 심박동수와 산소포화도 및 행동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서울 S 종합병원의 NICU에 입원한 미숙아 중 대상자의 선정 기준에 적합한 12명을 임의표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7년 5월18일부터 6월2일까지 총 15일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NICU에서 발생한 소음을 소음측정기를 이용하여 소음수준을 측정하였고 소음발생후 연구대상자의 심박동수, 산소포화도 및 행동상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PC)를 통해 대상자의 성별과 임상상태는 실수, 평균 그리고 백분율로 구하였고 소음원인은 실수와 백분율, 소음수준은 평균으로 구하였다. 그리고 소음수준과 심박동수, 산소포화도 및 행동상태는 상관관계분석으로, 소음원인에 따른 심박동수, 산소포화도 및 행동상태는 일원분산분석으로 가설을 검정하였다.

NICU에서 발생한 소음은 간호사, 의사, 그리고 간호보조원의 활동과 관련된 소음이 빈도수에서 가장 많았고 소음수준의 평균은 72.1dB이었다. 그리고 연구가설의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1. 소음수준과 심박동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약한 순상관관계 (r=.266, p<.001)로 소음수준이 증가할수록 심박동수가 증가하였다.

1-2. 소음수준과 산소포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약한 역상관관계 (r=-.257, p<.001)로 소음수준이 증가할수록 산소포화도는 감소하였다.

1-3. 소음수준과 행동상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정도의 순상관관계 (r=.578, P<.001)로 소음수준이 증가할수록 수면상태보다 각성상태를 보였다.

2-1. 소음원인에 따른 심박동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F=2.162, p<.05)를 보여 소음수준 뿐아니라 소음원인이 심박동수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2-2. 소음원인에 따른 산소포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F=0.786, p .05)를 보이지 않았다.

2-3. 소음원인에 따른 행동상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F=6.775, p<.001)를 보여 소음수준 뿐아니라 소음원인이 행동상태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 NICU의 전체적인 소음수준은 72.1dB이었으며 소음원인의 대부분은 의료진의 활동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소음수준과 심박동수, 산소포화도 및 행동상태는 상관관계가 있었고, 소음원인에 따른 심박동수와 행동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산소포화도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NICU에서 소음수준을 줄여 미숙아의 생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행동상태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하며 심박동수와 행동상태에 변화를 준 소음원인을 분석하여 환경을 수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NICU의 소음을 줄이는 여러방법과 소음이 미숙아에게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기를 제언하는 바이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NICU noises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the behavioral states of premature babies. Twelve babies in a NICU located in hospital in Seoul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or a total of fiften days from May 18 to June 2 1997. After the babies were exposed to the various noises, the researcher recorded the babies' heart rates, oxygen saturation levels and behavioral states. The Anderson behavioral state scale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premature babys'

behaviors. In addition, the NICU nois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sourc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the SPSS-PC(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Program, as well as real numbers, percentages, Pearson correlation and ANOVA were used

The results foun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noise level in the NICU was 72.1dB.

2. The most sources of the noises in the NICU were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nurses, doctors, nurse aids and other clinicians.

3. The correlaton coefficient of the noise level and the heart rate (r=.266, p<.001), oxygen saturation level (r=-.257, p<.001) and behavioral state(r=.578,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greater the increase in the noise level, the greater the change in the babies' heart rates, saturation levels and behavioral state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eart rate and behavioral state according to the source of the noise (F=2.162, p<.05, F=16.775,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nces in the saturation level.

In conclusion, NICU noise was generally above the 58dB recomended by the American Academiy of Pediatrics at the hospital studied in Seoul. In addition, noises resulted in changes of the heart rates, oxygen saturation levels and behavioral states in premature babies. As a result, nurses must make further efforts to recognize the changes that occur to premature babies with noises and work to lower the noise levels and offer an appropriate and supportive in the NICU environmen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59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51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