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11101

Cited 0 times in

응급실 일반간호사의 역할정립을 위한 업무분석

Other Titles
 Work analysis for the rol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uthors
 김은정 
Issue Date
1997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응급간호는 다양한 유형의 응급환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거의 모든 분야의 간호업무를 적용하면서 정확하고도 신속한 간호를 제공해야 하는 영역으로 특히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응급실 간호업무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과중됨과 더불어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과 책임이 어떠한 기준이나 심사숙고함 없이 급속도로 팽창됨에 따라 분명히 정의된 역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일반간호사들이 현재 수행하는 간호업무를 역할별로 파악하고 앞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에 있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간호업무를 조사하여 역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응급실 간호업무 표준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Hackbarth, Haas & Kavenagh(1995)이 제시한 역할별 업무범주의 틀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응급간호업무와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여 작성한 응급실 간호업무 활동기록지를 사용하였고 대학부속병원의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일반간호사들이 3일간 수행한 업무활동의 빈도수와 업무중요도를 기록하게 하였으며 수집기간은 1997년 4월 13일부터 5월 3일 까지였다.

자료분석은 간호업무활동 빈도수와 중요도는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근무번별 업무의 차이와 업무분담구역별 업무의 차이는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개의 응급실 간호업무 범주중에서는 기록관리가 평균 32.3회(28.58%)로 가장 수행빈도수가 높았으며 다음은 일상적 업무 26.5회(23.43%), 기술적 처치 25.3회(22.38%), 의사소통 11.5회(10.18%), 간호과정 9.7회(8.59%) 등의 순이었다.

2. 총 75개의 응급실 간호업무 항목중 가장 높은 빈도의 업무활동은 활력증상측정으로 9.84회였으며 다음은 charting & chart review(8.07회), 처방전 쓰기(6.57회), 정맥주사(5.98회), 응급실 내원환자등록(5.35회), 처치전표작성(4.59회), 정맥주사간호(4.58회),

환자이동(4.16회), 환자문제와 관련된 의료관련부서와의 의사소통(4.04회), 검사나 치료와 관련된 전화통화(3.94회) 등의 순이었다.

3. 근무번별 간호업무범주를 비교했을 때 일상적 업무(F=3.36, p=.04)에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상적업무는 저녁번(29.86회)에서 낮번(21.30회)이나 밤번(20.27회)보다 더 많이 수행되고 있었다.

4. 예진구역, 응급처치구역, 입원대기구역 등 3개의 업무분담구역별 간호업무범주를 비교했을 때 일상적 업무와 기술적 처치, 간호과정, 조정, 전문적 실무 등에서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예진구역에서 일상적 업무와 조정, 전문적 실무 등을 응급처치 구역과 입원대기 구역보다 많이 수행하고 있었고 또한 예진구역에서의 간호과정 수행이 응급처치구역보다 더 많았다. 입원대기 구역에서는 기술적 처치를 예진구역에 비해 월등히 많이 수행하고 있었다.

5. 응급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업무중요도는 12개의 응급실 간호업무범주 모두에서 보통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전문적 실무가 3.98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간호과정과 교육이 각각 3.96, 의사소통 3.89, 옹호 3.84, 계속교육 3.83의 순이었다.

6. 응급실 간호업무 항목별로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활동은 응급환자의 신체적인 위기중재가 4.53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수혈(4.47), 환자상태 관찰 및 사정(4.43), 심폐소생술시 참여(4.40), 활력증상측정(4.33), 정맥주사(4.20), 환기기간호(4.17), 근육주사(4.13), 근무교대/인수인계(4.13), 응급환자의 중증도분류(4.13) 등의 순이었다.

7. 앞으로 기대하는 응급실 간호업무 비중은 기술적 처치(11.6%), 전문적 실무(11.3%), 간호과정(10.3%), 의사소통(10.1%)의 순이었고, 일상적 업무나 기록관리, 기술적 처치업무 등을 현재의 비중보다 낮추고 간호과정이나 옹호, 교육, 조정, 전문적 실무, 질향상,

연구, 계속교육 등을 현재보다 높은 비중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현 응급실 간호업무가 주로 기록관리, 일상적 업무, 기술적 처치 등에 치우쳐 있는 실정에서 응급실의 기능과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비중으로 간호업무가 배분되고 응급실 간호업무에 있어 중요하게 인식되는 중증도분류, 전문적 실무, 교육, 간호과정 등에 대한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이 올바로 정립될 수 있도록 행정적 대안 및 동기부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ursing works in emergency department using the criteria of Hackbarth, Haas and Kavenagh(1995) modified by this investigator an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nursing works that th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perceiv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 subjects, from April 13 to May 3, 1997 at two emergency departments of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were used to analyze data.

12 nursing domains including 76 nursing activities were identified. These were ; enabling operations, records, technical procedures, communication, nursing process, advocacy, education, care coordination, expert practice, quality improvement, research, and continuing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12 nursing domains, the nursing works that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were ; records(28.59%), enabling operations(23.43%),technical procedures (22.38%), communication(10.18%) and others (15.42%).

2. Among the 76 nursing activities, the nursing activities that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was checking the vital sign of patients.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domains by working shift.

Enabling operations were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works in the evening shift than day or night.

4.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domains were also found by working areas ; enabling operations, technical procedures and care coordina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nursing works in triage area than admission wating area or emergency treatment area. Nursing process was the nursing works most frequently peformed in the admission wating area than the emergency treatment area.

5. Important nursing domains that emergency department nurses perceived were ; expert practice(M=3.98, SD= 0.74), nursing process(M=3.96, SD=0.65), education(M=3.96, SD= 0.74), communication(M=3.89, SD= 0.78), advocacy(M=3.84, SD= 0.73) and continuing education(M=3.83, SD= 0.62).

6. The most important nursing activity that emergency department nurses perceived was physical crisis intervention(M=4.53, SD=1.04).

7. Emergency department nurses expected to perform technical procedures, expert practice, nursing process, communication rather than enabling operations and records which frequently performed in present time.

This study results may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define the role of the emergency nurses in Korea.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67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51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