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49

Cited 0 times in

국소의치 제작을 위한 주모형에 형성된 교합면 레스트 시트와 유도면에 관한 비교

Other Titles
 (The) survey of the master casts with occlusal rest seats and guiding planes 
Authors
 오광철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지대치 형성은 국소의치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지대치 형성과정에서 교합면 레스트 시트와 유도면이 실제 임상에서 얼마나 정확히 시행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국소의치 제작을 위한 상악과 하악 주모형 515 개를 서울 소재 개인 치과기공소로 부터 임의로 수집하여 유도면 형성 여부, 교합면 레스트 시트 형성 여부, 유리단 부위를 포함한 지대치에서 교합면 레스트 시트의 위치, 교합면 레스트 시트 저면과 유도면이 이루는 각, 교합면 레스트 시트의 크기 및 외형, surveyed crown시행 여부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리단 부위를 포함한 상악 주모형에서 유도면과 교합면 레스트 시트가 형성된 경우는 91.74% 형성안된 경우는 8.26%이었고, 하악에서는 유도면과 교합면 레스트 시트가 형성된 경우는 85.00% 형성안된 경우는 15.00%이었다.

2) 상악에서 유도면이 변연능선에서 치온상방 까지 형성된 경우는 56.94%이었고, 변연능선상방 1/2-l/3 까지 형성된 경우는 35.19%이었고, 유도면의 측정이 불가능 한 경우는 7.87%이었다. 하악에서는 각각 65.64%, 29.21%와 5.15%이었다.

3) 상악에서 유도면이 치아외형을 따라 형성된 경우는 56.48%이었고, 협설면에 첨각이 형성된 경우는 35.65%이었고, 유도면의 측정이 불가능 한 경우는 7.87%이었다. 하악에서는 각각 61.67%, 33.68%와 5.15%이었다. 상악과 하악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4) 교합면 레스트 시트의 위치는 상악에서 근심쪽에 형성한 경우는 67.89%이었고, 원심쪽에 형성된 경우는 32.11%이었다. 하악에서 근심쪽에 형성한 경우는 67.23%이었고, 원심쪽에 형성된 경우는 32.78%이었다.

5) 교합면 레스트 시트 형성이 정상인 경우는 상악에서 29.82%이었고, 비정상은 70.18%이었다 하악에서는 정상이 30.77%이었고, 비정상이 69.23%이었다. 상악과 하악간의 유의

차는 없었다.

6) Surveyed crown 시행한 경우는 상악에서 90.83%이었고,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9,17%이었다. 하악에서는 시행한 경우는 91.31%이었고,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8.69%이었다.

국소의치를 장기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임상과정중 지대치 형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주모형상에서는 지대치 형성이 올바르지 못하였다. 올바른 국소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치과의사는 지대치 형성시 보다 주의와 노력이 필요하며 치과기공사도 올바른 surve

yed crown제작에 힘써야 하겠다.

[영문]

Abutment preparation is very essential for the clinical succes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prepared occlusal rest seats and guiding planes on the distal abutment of distal extension partial denture.

515 master casts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10 private dental laboratories located in Seoul area, and examined the distal abutments as the follows; 1) presence of guiding planes and occlusal rest seats, 2) location of occlusal rest seats, 3) the angle formed by the floor of occlusal rest seat and guiding plane, 4) the size and shape of occlusal rest seats and presence of surveyed crow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cclusal rest seats and guiding planes were formed in 91.74% in maxillary master casts and 85.00% in mandibular casts.

2) The guiding planes were formed straight from the marginal ridge to the gingiva in 56.94% and were formed at the occlusal 1/2 - l/3 of the distal surface of the abutment s in 35.19% of the cases, and unmeasurable cases were 7.87% in maxillary casts. And they were 65.64%, 29.21% and 5.15% respectively in mandibular casts.

3) The guiding planes were formed buccolingually to follow the natural tooth contour in 56.48% and were formed with line angle on buccolingual surface in 35.65% of the cases, and unmeasurable case were 7.87% in maxillary casts. They were 61.67%, 33.68% and 5.15% respectively in mandibular cast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4) The occlusal rest seats were formed on menial side in 67.89% and were formed on distal side in 32.11% in maxillary casts. They were 67.23% and 32.78% respectively in mandibular casts.

5) The occlusal rest seats were formed correctly in 29.82% in maxillary casts and 30.77% in mandibular cast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between maxilla and mandible.

6) Surveyed crowns were performed in 90.83% in maxillary casts and 91.31% in mandibular casts.

Abutment preparation in clinical procedure is important step for long term using successful removable partial denture. But most of the mast casts were not acceptable for making optimal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order to fabricate a high quality removable partial dentures, the dentists and technicians make effort to prepare abutment teeth and to fabricate surveyed crown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43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50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