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760

Cited 0 times in

한국인 고정식 교정환자의 치태 치은염 및 탈회의 초기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itial changes of dental plaque, gingivitis and decalcification in Korean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Authors
 강국진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구강내 고정식 교정장치의 장착으로 인해 치은염 및 치주염, 법랑질 탈회 및 치아 우식증, 치근 흡수, 치수변화 등 일시적 혹은 영구적 손상을 야기 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의 발생의 원인으로 치태의 증가, 세균 수의 증가와 조성의 변화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변화는 치은의 염증과 탈회를 유발한다. 또한 고정식 교정장치의 장착으로 잇솔질이나 타액의 자정작용에 의한 세정효과가 낮아짐으로써 구강위생이 불량해지는 경향을 보이며 세균의 서식에 보다 양호한 조건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세균의 축적으로 인해 치은의 염증이 유발되고 미세한 자극으로도 쉽게 출혈되며, 구강내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이 파괴된 모세혈관을 통해 혈관속으로 침입하여 일시적인 균혈증 상태를 유발 할 수도 있다. 반면에 치은염에 뒤이어 탈회의 발생도 초래하게 되는데 이것은 임상적으로는 시진에 의해 치관 표면이 백색으로 변화된 증상을 나타낸다. 구강내 미생물군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대사산물로 탄수화물이 치태내에 동시에 증가하여 치태의 점착성이 증가되고 치면에 대한 타액의 자정능이 저하되며, 아울러 산에 대한 완충력도 저하됨으로써 산에 의한 치면

의 탈회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부작용의 예방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치면세균막 관리법,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화합물 이용법, 불소 화합물 이용법, 치면 열구 전색법, 식이조절법, 불소를 방출하는 여러 교정장치와 재료, 몇몇 자동 tooth brushing 기구등의 방법이 개발되어 소개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이와 유사한 연구가 드물었고 또 외국인(caucasian)과 한국인의 인종적 차이와 식습관의 차이로 인한 구강내 세균 총에 차이가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한 충치의 이환율이나 치주질환의 양상도 다소 상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환자에서 장치 장착 전후의 치태, 치은염 그리고 탈회의 변화를 시간에 따른 변화, 남녀간의 차이 그리고 좌.우 소구치 부위간의 차이를 통해 알아보고자 전신 질환이 없고, 여자의 경우 초경이 지난 사람을 대상으로 대조군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생 48명(남자 26명, 여자 22명)과 실험군으로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할 환자 73명(남자 36명, 여자 37명)을 모두 TBI를 실시한 후, 치태 지수, 치은염 지수 그리고 탈회 지수에 대하여 대조군은 3주 간격으로 2회를, 실험군은 최초 측정을

하고 고정식 교정장치를 부착한 뒤 3주, 6주, 9주에 걸쳐 총 4회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태 지수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 후 3주의 측정 이후 서서히 증가하였다.

2. 치은염 지수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 후 3주의 측정이후 치태 지수의 증가 보다 좀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3. 탈회는 3주와 6주 사이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며, 탈회 지수는 처음과 비교하여 6주 측정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

4. 좌.우 소구치 부위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의 치태지수와 치은염 지수에서 우측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영문]

Intraoral fixed type of orthodontic appliance can cause reversible and irreversible damages such as gingivitis, periodontitis, enamel decalcification and dental caries, root resorption and pulpal change. Such adverse effects are brought by increase in dental plaque as well as oral flora. Such an increase causes gingival inf1ammation and enamel decalcification. Also, fixed type of orthodontic appliance worsens oral hygiene by reducing cleansing effects of tooth brushing and saliva., and it creates more suitable environment for bateria to live in.

Bacterial accumulation brings gingival inf1ammation which results in easy bleeding tendency and bacterial penetration into capillaries causing transient bacteremia.

Another adverse effect is enamel decalcification and this is detected clinically as white spots on tooth crown. Increased bacterial accumulation increases bacterial products and carbohydrate within bacterial plaque, and thereby strengthens its

adhesiveness and reduces buffer action on acid. All these processes cause enamel decalcification.

Preventive methods of such adverse effects include control of acquired pellicle, use of chemica1 agents that inhibit bacterial growth fluoride application pit and fissure sealant, dietary control, use of orthodontic appliances that release fluoride, and automatic tooth brushing kit. In Korea, studies concerning such adverse effects were lacking. It is the authors belief that racial difference and different dietary pattern cause difference in oral microbial flora, and so prevalence of dental caries as well as periodontal diseases will differ.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d to make observations on changes in dental plaque, gingivitis, and enamel decalcification after bonding fixed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ime, gender, and side(right/left) of premolar region. For control group, 48 students at dental college of Yonsei university(26 male, 22 female) were chosen; for experimental group, 73 orthodontic patients(36 male, 37 female) who will be treated with fixed appliances were chosen. All the subiects had no systemic disease, juvenile periodontitis and all the females had passed their menarche. Tooth brushing instruction was given to all the subjects prior to the experiment. For control group, plaque index, gingival index, and decalcification index were measured twice at 3 weeks interval; for experimental group, the same was done prior to, 3, 6, 9 weeks after bonding fixed applia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in plaque index 3 weeks after placement of appliance, and it showed gradual increase afterwards,(p<0.05)

2.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in gingival index 3 weeks after placement of appliance, and afterwards it showed increase at a faster rate than plaque index.(p<0.05)

3. Enamel decalcification began to show between 3 and 6 weeks after bonding fixed appliances. Decalcification index began to increase 6 weeks after appliance placemen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4. When the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wo sides of premolar region, the right side showed greater index,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in plaque index and gingival index of experimental group.(p<0.05)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07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49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