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950

Cited 0 times in

점막하구개열 환자에서 구개인두 조형술을 이용 계측한 두개기저부와 연구개인두부의 구조 및 운동

Other Titles
 Cranial base structure and velopharygeal movement in patients with submucous cleft palate using velophary 
Authors
 정재호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점막하구개열의 특징적인 해부학적 형태로써, 갈라진 목젖, 경구개의 중앙부위가 꺼져있거나 갈라져 있고, 구개 점막은 정상적으로 존재하면서 근육이 중앙에서 융합되지 않고 벌어져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비성만을 주소로 하는 불현성 점막하구개열을 고려한다면 그 빈도는 상당히 높을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이와같은 점막하구개열 환자는 5-6세가 되도록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구개인두부전의 발생을 확인한 후 수술해야한다는 보고가 있는 반면 본 교실에서는 보통의 구개열 환자와 같이 발견되는데로 생후 18개월에서 24개월 사이에 수술로 교정하여 주고 있으나 점막하구개열 환자만을 대상으로 위와 같은 연구가 그동안 보고된 바가 없으므로 구개인두조형술을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점막하구개열 환자의 두개기저부 및 연구개인두부의 구조와 연구개인두부의 운동을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으므로 조기 수술의 타당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1. 점막하구개열 환자군의 두개골 기저부는 정상군에 비해 둔각을 이루고 있다.

2. 점막하구개열 환자군의 비강인두부를 구성하는 두개골 기저부는 상대적으로 넓어져 있었으며, 길이(AA-PNS)비율도 정상군보다 크다.

3. 점막하구개열 환자의 연구개의 길이도 환자군에서 휴식 상태와 발성시 모두 유의하게 짧았다.

4. 점막하구개열 환자군의 연구개의 상승 정도는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5. 점막하구개열 환자군의 인두부 측벽간의 길이는 휴식 상태에서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환자군에서 자음 발음시는 의미있게 좁았다.

이상의 결과로 점막하구개열 환자는 정상군에 비해 두개기저부 골격 구조는 넓어져 있고 상대적으로 연부조직인 구개인두부는 짧아져있는 소견을 보이므로 조기의 수술적인 교정이 점막하구개열 환자의 구개인두부전을 교정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영문]

Submucous cleft palate is defined as a bifid uvula, palatal muscle diastasis, and a notch in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hard palate. Since submucous cleft palate is presently felt to be of clinical relevance only in the presence of velopharyngeal inadequacy, the evaluation and diagnosis of occult submucous cleft palate are only pursued if the patient has velopharyngeal inadequacy. The age for surgical correction of submucous cleft pala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speech outcome of surgical treatment. The available evidence suggests that earlier repairs yield better speech results than late repairs and that later treatment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ate of velopharyngeal inadequacy. But, treatment of patients with submucous cleft palate depends on the diagnosis of the velopharyngeal inadequacy and therfore nearly always occurs later than the time for optimal treatm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ranial base and soft structures in submucous cleft palate using velopharyng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rrey of the nasopharynx with submucous cleft palate indicated that the cranial base was outside the range toward the obtusity.

2. The pharyngeal angle (Ba-S-PNS) exceeds normal limits and the ratio of anteroposterior distance of nasopharynx with submucous cleft palate is larger than control group.

3. The patients with submucous cleft palate have relatively short soft palate in the neutral state and during phonation.

4. The soft palate of submucous cleft palate patients has lessened mobility than control group.

5. The distance of lateral pharyngeal wall shows shorter than control group only during "Su" phonation.

From these results, the submucous cleft palate patients have obtuse cranial base and relatively wide nasopharynx with deficient velum so velopharyngeal incompetency is inevitabl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19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49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