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610

Cited 0 times in

하악골 매식 부위 계측을 위한 나선형 단층촬영술의 신뢰도

Other Titles
 Reliability of spiral tomograrhy for implant site measurement of the mandible 
Authors
 김기덕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의 목적은 나선형 단층촬영장치와 전산화 단층촬영장치를 이용하여 건조 하악골의 단면을 촬영한 후, 나선형 단층촬영방법에 의한 단면 방사선사진 영상과 DentaScan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나선형 단층사진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재료로는 무치악 및 부분적으로 무치악인 31개의 하악골이 사용되었다. 무치악 부위의 위치에 따른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무치악 부위를 Me (이공 부위), M2 (이공과 하악공의 중간 부위), M1 (Me와 M2의 중간 부위), S (하악 정중결합 부위)의 4 부위로 분류하여 총 99 무치악 부위를 설정하였다. acrylic stent를 사용하여 직경 4 mm, 높이 5 mm의 ZPC 원기둥 시편을 무치악 부위에 위치시킨 후 각각의 시편 부위에 있어서 SCANORA 나선형 단층촬영과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촬영된 방사선사진에서 시편의 크기와 하악골 단면의 계측 항목을 3명의 관찰자가 측정하여 전산화단층촬영과 나선형 단층촬영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ZPC 시편을 사용하여 실제 측정치와 방사선사진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전산화 단층촬영사진의 평균오차는 수직부 0.07 mm, 수평부 -0.06mm를 보였고, SCANORA 나선형 단층촬영사진의 평균오차는 수직부 0.76 mm, 수평부 -0.12 mm를 보였다. 측정치의 평균오차에 있어서 두 촬영방법 간의 차이를 고찰한 결과 하악결합부 (S) 시편의 수평 측정치에서만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고 (p<0.05), 나머지 모든 부위의 측정치에 있어서는 두 촬영방법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p>O.05).

2. 치조정에서부터 하악골 하연까지의 거리 (H) 및 치조정에서부터 하악관의 상방 경계까지의 거리 (Y)를 비교한 결과 두 촬영방법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3. 하악골의 설측 최대 돌출부에서 협측 최대 돌출부까지의 수평거리 (W)및 하악골의 설측에서 하악관의 설측 경계까지의 수평거리 (X)를 비교한 결과 하악결합부 (S), 이공 (Me), 이공과 하악공의 사이 1/4 지점(Ml)에 있어서는 두 촬영방법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이공과 하악공과의 I/2 지점 (M2)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 (p
4. 측정값의 관찰자 간 평균 변화 범위는 하악결합부 (S)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위에 있어서 SCANORA 나선형 단층촬영이 전산화 단층촬영에 비하여 보다 컸다

5. 하악관의 인지능을 비교한 결과 두 촬영방법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결론적으로 하악골 매식 부위 계측을 위한 촬영방법으로써 SCANORA 나선형 단층촬영법이 전산화 단층촬영법에 비하여 하악 최후방 무치악 부위의 평가에 있어서 다소 정확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하악 최후방부에서 전산화 단층촬영사진에 비하여 SCANORA 나선형 단층촬영사진에서 해부학적 구조물의 경계를 파악하기가 보다 어려웠던 것에 주로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되는 바 향후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장비의 개선을 위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방사선 노출 정도, 비용 등을 아울러 고려할 때 SCANORA 나선형 단층촬영법이 하악골 매식 부위 계측을 위한 촬영방법으로서 비교적 우수한 촬영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spiral tomography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SCANORA cross-sectional tomographs and DentaScan computed tomographic images of dry mandibles taken by a SCANORA spiral tomographic machine and a computed tomographic machine. Thirty-one dry mandibles with full or partial edentulous areas were used. To evaluate the possible effect of location in the edentulous area, it was divided into 4 regions of Me (region of mental foramen), Ml (the midportion between Me and M2), M2 (the

midportion between mental formen and mandibular foramen) and S (the midportion of the mandibular symphysis). A ZPC column (sized 4 mm x 5 mm) was seatedon the edentulous regions of Me, Ml, M2 and S using the acrylic stent. Then SCANORA spiral tom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were taken on the edentulous regions which contained the ZPC column. The ZPC columns and cross-sectional images of the mandible were measured in the radiographs by three observ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maging modalities were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omparing the actual measurements of the ZPC column and measurements in the radiographs, the mean error of the DentaScan computed tomography was 0.07 mm in vertical direction and -0.06 mm in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mean error of the SCANORA spiral tomography was 0.06mm in vertical direction and -0.12 mm in horizontal dire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radiographic techniques in the horizontal measurement of the ZPC column of the symphysis region (p<0.05).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s of other regions(p>0.05).

2. In measurements of the distance from the alveolar crest to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H), and of the distance from the alveolar crest to the superior border of the mandibular canal (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radiographic techniques (p>0,05).

3. In measurements of the distance from the lingual border of the mandible to the buccal border of the mandible (W), and of the distance from the lingual border of the mandible to the lingual border of the mandibular canal (X),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radiographic techniques in measurements of the midportion between the mental foramen and the mandibular foramen (M2) (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surements of the other regions of symphysis (S), mental foramen (Me), the first one-fourth portion between the mental foramen and the mandibular foramen (Ml) (p>0.05).

4. Considering the mean range of measurements between observers, the measurements of SCANORA spiral tomography showed higher value than those of Dentascan computed tomography, except in measurements of symphysis (S).

5. On the detectability of the mandibular cana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radiographic techniques (p>0.05).

In conclusion, SCANORA spiral tomography demonstrated a higher interobsever variance than that of Dentascan computed tomography for implant site measurements in the posterior edentulous area of the mandible. These differences were mainly the result of difficulty in the detection of the border of the mandible in SCANORA spiral tomography. But considering the cost and the radiation exposure, SCANORA spiral tomography can be said to be a relatively good radiographic technique for implant site measuremen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91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47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