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600

Cited 0 times in

Transgingival Bone Probing Measurement as a Reliable Evaluation of the Bone Level in Periodontal Defects

Other Titles
 치조골결손부에서 탐침골깊이측정의 신뢰성 
Authors
 김현영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치조골 결손부가 있는 치아에서 치주질환의 파괴정도나 치주치료후의 효과를 판단함에 있어 비외과적으로 임상측정치를 이용하여 치조골높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으며 치주낭측정깊이, 방사선학적 검사, 골탐침방법등에 관심을 가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만성치주염으로 치주수술이 시행될 43명의 환자에서 67개의 제1대구치를 대상으로 치주낭측정깊이가 4mm미만인 경우와 치주낭측정깊이가 4mm이상인 경우로 나눈후 치료전 stunt를 제작하여 모든 측정의 기준점으로 삼아 치주낭깊이를 측정하고 평행촬영법으로 치근단방사선사진을 얻어 방사선학적 측정깊이를 측정하고 국소마취후 탐침골깊이를 측정하여 외과적 치료시 측정된 치조골 측정깊이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시 측정된 실제 치조골깊이와 탐침골깊이를 비교하였을때 이들의 상관계수는 0.92로써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두 측정깊이간의 차이는 전체집단에서 0.01±0.93mm, 치주낭깊이가 7mm미만인 경우에서 0.10±0.96mm, 치주낭측정깊이가 4mm이상인 경우

에서 -0.08±0.89mm로 치주낭측정깊이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수술시 측정된 실제 치조골깊이와 치주낭측정깊이를 비교하였을때 이들의 상관계수는 0.77로써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두 측정깊이간의 차이는 전체집단에서 1.08±1.52mm, 치주낭측정깊이가 4mm미만인 경우에서는 1.34±1.57mm, 치주낭측정깊이가 4mm이상인 경우에서는 0.87±l.46mm로 치주낭깊이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수술시 측정된 실제 치조골깊이와 방사선학적 측정깊이를 비교하였을때 이들의 상관계수는 0.69로써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두 측정깊이간의 차이는 전체집단에서 -0.50±1.80mm, 치주낭측정깊이가 4mm미만인 경우에서 -0.07±1.64mm 치주낭측정깊이가 4mm이상인 경우에서 -0.87±1.86mm로 치주낭깊이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4. 수술시 측정된 실제 치조골깊이에 대한 탐침골깊이와 치주낭측정깊이의 차이는 골결손부의 형태, 치아의 부위에 따라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방사선학적 측정깊이와의 차이는 인접면에서 0,18±0.65mm, 정중부에서 -0.85±1.78mm로 치아부위에 따라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볼때 실제 치조골깊이에 대한 탐침골깊이가 가장 상관관계가 높았고 치주낭깊이, 골결손부의 형태, 치아의 부위에 관계없이 두 측정치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으므로 치주치료후 재생된 치조골정도를 알아보고자 할때 재수술을 거칠 필요없이 탐침골깊이를 이용할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영문]

The present study evaluates the reliability and the accuracy of transgingival bone probing by comparing the transgingival bone probing depth (TBP) as well as probing pocket depth (PD) and radiographic bone level (RBL) with the bone level actually measured at the time of the surgery (SBL). The effect of probing pocket depth (<4, ≥4), the tooth surface and prescence of intrabony defect were also investigated. 67 first molars in forty three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scheduled to have periodontal surger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ustom-made

acrylic resin stent was used for proper orientation of the probe for the pocket depth measurement as well as the surgical, transgingival and radiographic bone level evaluation.

The difference between SBL and TBP was 0.01mm, 0.10mm, -0.08mm in all sites, defects with less than 4mm PD, defects with PD of 4mm or gpeater, respectively. The depth of the pocket made no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between SBL and TBP (P>0.05).

The greatest correlation to SBL was found with TBP (γ=0.92), following by PD (γ=0.77) and RBL (γ=0.69). In the shallow pocket, however, the correlation with RBL (γ=0.71) was higher than that with PD (γ=0.59). The morphology of the defec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ifference between SBL and other measturements, while the tooth surface and the probing pocket depth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ifference between RBL and SBL.

The result suggests that regardless of the probing pocket depet the probing surface and presence of intrabony defect, it shows highest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gingival bone probing depth and actual bone level, difference of two is minimal. Therefore the transgingival bone probing depth measurement is a reliable method to estimate the regenerated bone level following periodontal treatment without a re-entry surger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80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44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