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97

Cited 0 times in

하악골 후방이동 수술후 기도 공간과 두개 및 경추 각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e of airway space and cranial, cervical angulation after mandibular setback operation 
Authors
 장현호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두개안면부 기형(craniofacial deformity)을 연구하는데 있어 형태에 영향을 주는 요소 또는 형태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 요소를 찾는 일은 성장 발육 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성장의 예측 및 치료에 응용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동안의 몇몇 보고에서 형태의 차이에 따른 두부 자세 및 기도 공간의 특성에 대해 언급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차이(difference)가 아닌 수술을 통해 야기된 형태의 변화(change)가 두부 자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또 이 과정에서 기도 공간이 어떻게 변하는 지를 관찰하는 것은 형태, 기도 공간, 두부 자세간의 연관성을 밝히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부여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술을 통한 하악골 형태 변화후 기도 공간과 두부 자세가 서로간에 어떤 관계를 갖고 변하는 지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저자는 정상성인 43명과 하악 전돌증으로서 성장완료후 하악골후방이동 수술을 시행하여 1년 이상 추적 관찰될 47명을 대상으로 기도 면적의 변화를 측정 할 수 있는 기준선의 설정, 이에 따른 기도 면적의 차이, 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혀와 설골의 위치, 두개 및 경추 각도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부 자세 변화시 혀와 설골등 인두(Pharynx) 인접 구조물들은 두개(cranium)내 기준선보다는 경추(cervical column)의 기준선에 밀접한 관계를 갖고 움직였다.

2. 술전에 대한 기도 면적 비율은 술후 1달째 81.6%였으며, 1년째는 다소 증가하여 89.7%였다.

3. 술후 기도 면적 감소에는 혀의 후방이동이 주로 관여하며 이러한 혀의 후방이동과 설골의 하방이동과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술후 기도 면적의 회귀 현상과 하악골의 회귀 현상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술후 두개경추 각도는 증가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 있어 술후 1달째에는 경추의 전방경사가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부터 술후 1년까지 경추 각도는 원래의 경사도로 되돌아가는 반면 두개 각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6. 술후 1달째에서 1년까지의 기도 면적 증가율과 같은 시기의 두개 각도 증가와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하악골 후방이동 수술을 통한 형태 변화후 두개 각도의 증가에 따른 기도 면적의 회귀경향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두개 각도의 증가는 기도 적정을 유지하기위한 보상 기전중의 하나인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In the study of craniofacial deformity, it is very important that identifying the factor which can affect the morphology and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morphology, because it can not only improve the comprehension of growth and developmental process but also be applied in growth prediction and treatment modality.

Several investigators have already mentioned the characteristics of head posture and airway space in relations to morphologic difference. But it is very meaningful work in cla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morphology, head posture and airway space that observing the change of head posture after morplologic change caused by operation and the change of airway space after same procedure.

To investigate above correlation, I selected normal group which is consisted of 43 adults and mandibular prognathism group which is consisted of 47 adults who had been operated by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were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With their lateral skull radiograghs, reference lines which can evaluate each measuring points and areas without effect of postural change were first determined. And using above reference lines, change of airway space, positional change of tongue and hyoid, change of cranial and cervical angulations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change of head posture, tongue and hyoid neighboring to pharynx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reference line of cervical column than to reference line of cranium.

2. After mandibular setback operation, the airway dimension was decreased to 81.6% of preoperative state at 1 month postoperatively and was slightly increased to 89.7% at 1 year postoperatively.

3. Posterior movement of tongue plays important role in decrease of airway dimension and inferior movement of hyoid was closely correlated with posterior movement of tongue.

4. Postoperative anterior movement of mandible, namely, morphologic relapse had correlation with relapse phenomenon of airway dimension.

5. Craniocervical angulation increased postoperatively, Especially in the postoperative early state, there was increased forewarn inclination of cervical angulation rather than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But at postoperative 1 year it was observed that cervical inclination was returned to preoperative state and cranial angulation was increased gradually.

6. Increase rate of airway dimension was correlated with the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from postoperative 1 month to 1 year.

In conclusion, relapse tendency of airway dimension following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was fecund after mandibular setback operation and it is considered that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is one of compensatory mechanism in airway maintenanc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92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43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