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834

Cited 0 times in

암환자의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 발현 요인

Other Titles
 Generating factors of anticipatory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with cancer 
Authors
 한신희 
Issue Date
1997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화학요법은 미세한 부위의 암세포까지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으로 인해 암의 치료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요법은그 효과가 인정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암조직이 침투되어 있지 않은 부위를 포함하여 전신적인 영향을 초래하므로 치료에 따른 여러가지 심각한 부작용들을 초래한다. 특히 오심, 구토는 암환자에 대한 화학요법시 가장 흔히 발생되면서도 가장 고통이 따르고 힘든 부작용이다.

화학요법전의 오심, 구토는 개인의 생각, 느낌, 감각적 자극 등의 학습에서 연유한 인지적 자극에 의해 구토중추가 활성화되어 유발되는 관계로 항구토제 같은 약물의 투여시의 효과도 극히 부분적이며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많은 고통을 주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서는 이 현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뿐 아니라 이에 대한 발현정도나 발현요인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도 전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등 국외에서 연구를 통해 밝혀진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발현요인들을 Roy의 적응모텔의 이론적 기틀을 근거로 ① 촛점자극은 화학요법에 대한 욜안을, ② 연관자극은 화학요법과 관련된 과거경험, 환경적 요인, 신체적 ·정신적 증상과 질병유형을, ③ 잔여자극은 멀미의 취약성과 연령으로 조작화하여 암환자의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 발현정도와 발현요인을 조사하였다.

화학요법제제와 화학요법주기를 통제한 후 구조화된 질문지와 비구조화된 면담 및 환자의 병력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오심, 구토 측정도구(The Morrow Assessment of Nausea and mimesis), 불안 측정도구(The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증상조사표(The Rotterdam Symptom Check-list), 일반사항 기록지, 의학정보조사지 및 환경적 요인 조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1996년 10월 4일부터 1996년 11월 9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 발현요인의 규명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간 상호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나온 환경적 요인들을 내용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암환자의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의 발현 빈도는 47% 였다.

2.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를 직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은 정신적 중상(P=.002)과 화학요법과 관련된 과거경험 즉 화학요법시작 후 오심, 구토(P=.0041)였다. 두 요인은 39.5% 설명력을 보였다.

3. 불안(P=.0000)과 신체적 증상(P=.0000)은 정신적 증상을 64.6%로 설명하고있어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진단받은 시기는 불안에(P=.0248) 영향을 주었으며 전이상태(P=.0227)와 흡연(P=,0267), 음주(P=.0220)는 신체적 증상에 영향을 주어 화학요법전의 오심, 구토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여자에게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가 높게 나타났고(P=.055), 불안도 높게 나타났다(P=.043).

6.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는 화학요법시작 후 오심, 구토(P=.001)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화학요법전 오심의 정도는 불안(P=.001), 정신적 중상(P=.001) 및 신체적 증상(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화학요법시작 후의 오심, 구토는 불안(P=.01)과 정신적 중상(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7,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를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들은 특별한 음식에 관하여 보고, 냄새맡고, 듣는 것, 화학요법 받을 때 느낀 경험에 관하여 생각하거나 말하는 것과 병원입구에서 들어서자마자 받는 자극순이며 이 요인들은 병원 셋팅에 대한 인지, 감각자극 및

항암제 투여경험으로 범주화하였고,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종교, 기분전환, 과거회상, 긍정적 사고전환 및 운동 등이었다.

본 연구는 암환자의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의 발현정도를 처음으로 제시하며, 화학요법전 오심, 구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화학요법전오심, 구토현상을 우선순위에 따라 체계적으로 사정할 수 있는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내외적 자극이 되는 요인들의 예방 뿐만 아니라 불편감 완화를 위한 중재의 방법까지 제시할 수 있다.



[영문]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 frequency of and to identify generating factors of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in patient with cancer.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derived basically from Adaptation Model of Roy.

The measurement tools were 1) The Morrow Assessment of Nausea and Emesis, 2) The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3) The Rotterdam Symptom Check-list, and 4) Questionnaire for finding Environmental Cue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6 adult patients with various types of cancers who were scheduled for the 3rd Chemotherapy cycle, and were being given one or more medications out of 10 chemotherapy agents believed as causing severity of moderate

to severe nausea & vomiting as an adverse effect.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4, 1996 to November 9, 1996.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for identifying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and Pearson Correlation for understanding correlations among factors.

Environmental cues obtained with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requency of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in patients with cancer was 47%,

2. From the study, identified two factors directly related to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were psychologic symptoms(P=.002) and chemotherapy induced nausea & vomiting(P=.004). These two factors showed 39.5% of R**2

3. Psychologic symptoms were explained 64.6% R**2 by anxiety(P=.000) and physical symptoms(P=.000). Thus, these two factors indirectly affected nausea and vomiting.

4. Diagnosis time affected anxiety(P=.025), and

metastasis(P=.023),drinking(P=.022) and smoking(P=.027) did physical symptoms. And, thus, these factors indirectly affected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5. In female patients,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and anxiety were dominant.

6.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hemotherapy-induced nausea & vomiting, while severity of anticipatory nausea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nxiety, psychologic and physical symptoms.

7. Chemotherapy induced nausea & vomit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nxiety and psychologic symptoms

8. Identified environmental cues were awareness of hospital setting, sensory stimuli, experience of chemotherapy had induced nausea and vomiting. Strategies for relieving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taken by cancer patients were religion, relaxation, looking back into the past, positive thinking, and excercise.

This is the first study found a frequency of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in patients with cancer, and also identified generating factors of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Thus, essential information for systemic assessment became available from prioritizing generating factors of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Furthermore, barred on the study results an interventional model could be suggested for prevention and relief of anticipatory nausea & vomiting.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33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43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