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8 472

Cited 0 times in

근조직 및 배양 근세포에서의 CTRP1발현과 그 의의

Other Titles
 The expression of CTRP1 in the patients with myopathies and cultured human myoblast/myotube 
Authors
 소선화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의과학과/석사
Abstract
[한글]Adipokines의 family 중 하나인 C1q/tumor necrosis factor-α-related proteins(CTRPs)는 다양한 종류의 조직에 존재하며, 주로 간이나 근육조직에 작용하여 포도당과 지질대사 등의 조절을 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CTRP superfamily의 하나인 Complement-C1q TNF-related protein 1(CTRP1)은 혈관평활근세포(vascular smooth muscle cell)에서 발현되고,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는 collagen에 있는 von Willebrand factor(VWF)를 억제하여 생체 내에 혈소판 혈전증을 예방해준다고 보고 되어있다. 또한 CTRP1은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와 면역조절인자인 tumor necrosis factor-α와 interleukin-1β를 처리한 쥐의 지방세포에서 CTRP1이 높게 발현된다고 밝혀졌으며,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adiponectin의 한 종류이고 골격근 발달, 혈소판 응집에도 연관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CTRP1의 이해는 현재 초기단계이고 근육조직에서 CTRP1의 역할은 밝혀지지 않았다. 근육은 재생이 가능하며, 근육 발생 과정은 근육 손상 후 일어나는 재생 과정과 유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의 근조직에서 얻은 근육모세포(myoblast)와 근관세포(myotube)에서의 CTRP1의 발현 정도를 면역세포화학 염색법과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으로 비교하여 발현양상을 확인해보고, 또한 정상인과 두시엔느형 근이영양증및 염증성 근육병인 다발성근육병과 피부근염근육병의 환자의 근조직을 면역조직화학염색하여 CTRP1의 발현과 증감을 알아보고 그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배양한 근육모세포보다 분화된 상태의 근관세포에서 세포막과 세포질에서의 CTRP1의 발현양이 증가하였고, 이를 웨스턴 블롯한 결과 근육모세포보다 근관세포에서 CTRP1의 단백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정상인과 두시엔느형 근이영양증, 피부근염, 다발성근염환자의 근조직을 CTRP1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 한 결과 피부근염, 다발성근염환자, 정상근조직보다 두시엔느형 근이영양증에서 세포의 괴사 및 재생 근섬유에 CTRP1의 발현양이 증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웨스턴 블롯하여 CTRP1의 질환별 증감을 확인해 본 결과 두시엔느형 근이영양증에서 정상근조직보다 CTRP1의 단백 발현양이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골격근의 발생 과정에서뿐만 아니라 재생에서도 CTRP1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지지해 준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51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32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