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2337

Cited 0 times in

재해 간호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 및 핵심 수행 능력

Other Titles
 Nurse’s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Authors
 노지영 
Issue Date
2010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최근 들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쓰나미, 지진 피해 등의 예기치 않은 각종 재해가 발생되고 있다. 재해는 인간의 생활에 급작스런 변화를 가져와 인명과 재산의 피해는 물론 외부의 도움이 없이는 스스로 극복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하게 되며, 이는 인간의 건강과 삶 전체에 걸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간호사들은 새롭게 요구되는 재해 건강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재해 관리 측면의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보다 거시적인 시야를 갖고 재해 대응, 복구의 촉진자이자 관리자로서의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재해관련 경험 및 인식 정도와 핵심 수행 능력 정도를 조사하여, 재해 간호 실무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0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서울 시내 임상 및 실무 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74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의 경험과 선행 연구를 포함한 각종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한 문항을 수정, 보완한 경험 및 인식 측정도구와, 간호사들의 재해 간호 핵심 수행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6)에서 발표한 재해 간호 수행 능력 (ICN frame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과 2003년 Wisconsin Health Alert Network에서 개발한 44개 문항의 Emergency Preparedness Questionnaire(EPIQ)를 기반으로 간호대 교수 3인의 도움을 받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개발하여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독립 t 검정, 피어슨 상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대상자들의 재해 및 재해 간호에 대한 경험 특성 중 재해를 직접 목격하거나 경험이 있는 간호사는 7.5%로 관련 경험이 매우 저조 하였고, 주로 방송이나 신문 등의 언론매체를 통해 보도된 정보를 획득하거나 국내의 홍수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에 대하여 느끼는 심각성 정도와 재해 간호의 교육 필요성을 느끼는 중요성 정도를 반영하는 재해 인식 정도의 경우, 25점 만점에 평균 14.82(±6.07)점으로, 대체적으로 재해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 특성에 따른 재해 인식 정도는 직무 관련 특성 중 총 근무 경력이 3년 이상인 그룹이 3년 미만인 그룹보다 평균 인식 정도가 높게 나왔다(t=2.414, p=.017). 재해 관련 경험 특성의 경우, 간호학생 때 재해 간호에 대해 들어 본 경험이 있는 간호사의 재해 인식 정도가 총 25점 만점에 15.53(±6.32)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2.444, p=.808). 기타 재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은 경험이 있거나 응급처치 교육 이수를 한 경우, 지역사회 의료 봉사 경험이 있는 간호사의 경우 등에서 재해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3. 대상자들의 재해 간호 핵심 수행 능력은 총 75점 만점에 40.82(±9.77)점, 각항목당 총 평균은 5점 만점에 2.73(±0.27)점으로 간호사의 재해 간호에 대한 핵심 수행 능력은 보통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각 세부 항목당 가장 높은 평균값은“재해 발생시 의료진이 하는 임무에 대해 알고 있다.“ 로 3.14 ± 0.79점 이었으며 다음으로 "재해 발생 시 기본적인 응급처치를 할 수 있다.” 가 3.09 ± 0.81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재해 상황 시 간호 제공에 대한 내용을 문서로 기록하는 절차에 대해 알고 있다.“ 는 2.14 ± 0.83점으로 가장 낮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4. 대상자 특성에 따른 재해 간호 핵심 수행 능력 정도는 직무 관련 특성 중 근무 기간이 3년 이상인 간호사가 총 75점 만점에 41.83(±9.69)점으로 핵심 수행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나 경력과 핵심 수행 능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t=1.287, p=.200), 재해 관련 경험 특성에서 최근 재해를 경험하거나 목격한 간호사의 핵심 수행 능력 정도가 45.46(±10.1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1.726, p=.107).5. 재해 간호 인식과 재해 핵심 수행 능력 정도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r=.212, p<.05) 재해 간호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핵심 수행 능력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재해 심각성 인지도와 재해 간호 교육 중요성 인지도의 경우, 재해에 대해 심각하게 느낄수록 재해 간호 교육이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580,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는 재해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고, 재해 간호 실무 수행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개인 및 조직차원, 정책적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재해 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28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