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6 657

Cited 0 times in

상악동 골이식 시술 부위에 식립한 임프란트의 생존율

Other Titles
 Implant survival rates in sinus lift areas 
Authors
 최종명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상악 구치부의 치아를 상실한 환자에서 임프란트의 식립 전에 위축된 치조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부가(onlay) 골이식이나 판상(veneer) 골이식 등을 이용한 치조제 증대술, LeFort Ⅰ 골 절단술 후 골 사이에 자가골을 이식하는 방법 그리고 상악동 골이식 등이 사용되어져 왔다. 지금까지 사용되어져 왔던 여러 가지 방법들 중에서 특히 상악동 골이식은 비교적 술식이 간단하고, 합병증이 적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측방 접근법을 통하여 상악동 골이식을 하고 임프란트를 식립한 환자에서 전체적인 생존율과 합병증 발생 정도, 사용된 골이식재, 상악동 골이식 시행과 임프란트 식립 시기에 따른 차이점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상악동 골이식 후 임프란트 식립에 임상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에 본 저자는 2000년 1월부터 현재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상악동 골이식을 시행 후, 임프란트를 식립하고 부하를 받은지 6개월 이상된 환자들의 의무기록지, 방사선 사진 등을 참고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환자는 50명이었으며, 시술된 상악동 골이식은 71례, 식립된 임프란트는 173개였다. 상악동 거상술 과 연관된 합병증의 발생율은 18.3%였으며, 임프란트의 전체 생존율은 96.5%였다. 2. 평균 연령은 52.4세였으며, 50대가 가장 많았다. 50명 중 흡연자는 11명이었으며, 당뇨병을 기왕증으로 가지고 있던 환자는 5명이었다. 환자의 연령, 흡연 여부 및 당뇨병 유무에 따른 임프란트의 생존율은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상악동 골이식과 연관된 합병증의 발생율은 18.3%였으며, 가장 많이 발생한 것은 상악동 점막의 천공으 로 11.3%(8례)였고, 기타 합병증이 7%(5례) 발생하였으며, 이들은 상악동염, 국소 창상의 감염, 차단막 의 노출, 이식 골의 괴사 등이었다. 4. 합병증의 발생 여부에 따른 임프란트의 생존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 상악동 골이식시 이식재로는 자가골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가 42.3%로 가장 많았으며, 자가골과 이종 골, 자가골과 동종골의 혼합 순이었으며, 사용된 골이식재의 종류에 따른 임프란트의 생존율 차이는 유의 하지 않았다. 6. 상악동 골이식 시술 전의 잔존 치조골의 높이는 2~4mm인 경우가 30.6%로 가장 많았으며, 4~6mm, 6~ 8mm 순이었다. 잔존 치조골의 높이에 따른 임프란트 생존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7. 상악동 골이식 후 임프란트 식립 시기에 따라 동시(simultaneous)와 골 형성 완료 후(staged)로 분류하 였으며, 동시에 식립한 경우의 생존율은 100%로서 골 형성 완료 후에 식립한 94.7%에 비해 높았으나,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상악동 골이식 후 임프란트 식립까지의 기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8. 임프란트의 초기 고정력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상악동 골이식은 비교 적 합병증이 적으며, 식립된 임프란트의 생존율도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악동 골이식 후, 식립된 임프란트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악동 골이식시 합병증, 특히 상악동 점막의 천공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비록 임프란트의 초기 고정력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지만, 임프란트의 실패는 식립 후, 초기 6개월 이내에 발생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상악동 골이식시 상악동 점막의 천공 없이 술식이 진행되고 임프란트 식립시 충분한 초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상악동 골이식과 동시에 임프란트의 식립을 하는 것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는 술식이라고 사료된다.



[영문]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lacing implants in atrophic bone of

patients with missing maxillary molars, alveolar ridge augmentation using onlay or veneer bone grafts, autogenous bone grafts followed by LeFort I osteotomy, sinus lifts and etc have been used. Among the many methods that are in use, sinus lifts have been most frequently used because of the relatively simple technique and low complication r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ate of survival and occurrence of complications in implants following sinus lifts, using the lateral window approach, with various bone graft material and implantation timing, in order to aid future clinical cases of implants following sinus lifts. The author selected patients from YUDH Department of OMFS from January 2000 till present with implants, loaded for over 6 months, following

sinus lifts.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derived based on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radiographic images and etc.

1. 71 cases of sinus lifts and 173 implants were placed in 50 patients. 18.3% of the complications were related to sinus lifts and the total implant survival rate was 96.5%.

2. The average patient's age was 52.4 year and most of the patients were in their 50’s. 11 patients were smokers and 5 patients had DM. Patient's age, smoking and D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tatistical implant survival rate.

3. Among 18.3% of the complications related to sinus lifts, 11.3% (8 cases) of sinus mucosa perforation and 7% (5 cases) of sinusitis, localized infection, membrane exposure, grafted bone necrosis etc.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nd implant survival rat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5. Autogenous bone (42.3%)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s bone grafting material, followed by a mixture of autogenous and allogenous bone, autogenous and xenogenous bone. The type of grafting material did not statistically affect the implant survival rate.

6. The residual alveolar bone heigh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mplant survival rate.

7. Implant placement following sinus lifts were divided into simultaneous and staged. The survival rate of simultaneous implants was 100%, which is higher than the 94.7% of staged implants; however,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mount of healing period following sinus lifts before implant placement did significantly affect the implant

survival rate.

8. The implant survival rate based on initial stabili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se results, sinus lift is a technique with relatively few complications and implants placed following sinus lifts show a high survival rate. In order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implants following sinus lifts, it is important to avoid perforating the sinus membrane. Although initial implant stabil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mplant survival rate, most implant failures occurred in the initial 6 months following implant placement.

Therefore, if sinus lifts are performed without perforating the sinus membrane and sufficient initial stability is acquired, simultaneous sinus lift and implant placement is a procedure with many advantages.
Files in This Item:
T01136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17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