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20 745

Cited 0 times in

한국인의 영아급사증후군과 사인불명소아급사의 위험인자와 빈도

Other Titles
 The risk factors and incidences of SIDS and SUDC of Koreans 
Authors
 양경무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한국에서는 아직 부검을 시행한 영아급사증후군과 사인불명소아급사에 대해 연구가 진행된 적이 없다. 이에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서 1996년부터 2008년까지 13년간 부검을 한 사례들 중에서 영아급사증후군과 사인불명소아급사로 판단되는 사례들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알려진 영아급사증후군 위험인자 중 호발 사망연령과 사망계절, 동반된 경미한 감염증은 일치하였으나 기존의 보고와 달리 남녀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낮은 키별체중백분위수, 동침자 음주, 엎드린 자세의 수면, 익숙지 못한 엎드려 재움(unaccustomed prone sleeping)이 위험인자로 추정되었고 온돌 난방에 의한 체온의 상승도 위험성이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영아급사증후군의 빈도를 구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에 따라 계산된 최근 5년간 영아급사증후군의 빈도는 출생아 1000명당 0.24~0.39 범위이다. 예측불허영아급사의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부검율은 40% 미만 이었고 부검과 철저한 조사를 시행하면 약54%에서는 사인이 밝혀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검안만 시행하는 경우는 사인을 불명으로 기재하는 것이 권장된다. 사인불명소아급사는 영아급사증후군과 유사한 남녀성비, 호발 사망계절을 보이고 낮은 키별체중백분위수와 엎드린 자세 수면이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는 유사한 특징을 보여 사인불명소아급사에서도 영아급사증후군과 유사한 사망기전이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결론적으로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부검사례들을 통해서 한국인의 영아급사증후군과 사인불명소아급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수행이 가능하며, 영아급사증후군의 선별과정에서 제외된 사례들을 통해 수면 중 발생할 수 있는 정상 영아의 질식사를 예방하기 위한 국가사업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There has not been a research done on autopsied cases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 and sudden unexplained death of childhood (SUDC) in Korea. Selected autopsy cases of SIDS and SUDC that have been perform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Scientific Investigation (NISI) during the last 13 years from 1996 to 2008 have been analyzed for this study. The selected SIDS group showed characteristic death age, seasonal variation and accompanying mild infectious disease those are similar to the known SIDS risk factors, but did not show the discrepancy in ratio between the sexes, as previously reported. Low weight for length, co-sleeper’s alcohol intake, prone sleeping position, unaccustomed prone position have been suggested as risk factors. Hyperthermia caused by ‘ondol’ peculiar in Korean lifestyle also has been considered as a risk factor.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of calculating the SIDS incidences.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 the rate of SIDS incidence is between 0.24 to 0.39 per 1,000 live births. The autopsy rate of sudden unexpected death of infancy is less than 40%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It is recommended that a clinician specify the cause of death as “uncertain” because, in about 54% of the cases, the cause of death may be uncovered through a thorough investigation and autopsy. The studied SUDC cases indicated the probability of similar mechanism of death to that of SIDS in Korea by showing a similar male to female ratio, prevalence in the winter and the spring time, low weight for height, and prone sleeping position. In conclusion, the autopsy cases performed at NISI may enable further studies of SIDS and SUDC among Korean infants and children, and the study may be used as the basis of a national project to prevent deaths of normal infants from suffocation during his or her sleep.
Files in This Item:
T01129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09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