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7 1152

Cited 0 times in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감각기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Other Titles
 The Infulence of Sensory Func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Chronic Cerebrovascular Accident 
Authors
 송원일 
Issue Date
2010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뇌졸중 후 감각기능장애는 뇌졸중의 중증도 및 근력 약화와 높은 관련이 있으며, 비정상적인 체성감각은 뇌졸중에 따른 운동기능 회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감각기능은 운동기능이나 인지기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뇌졸중 환자들의 재활 과정에서 관심을 끌지 못하였으며, 특히 체성감각계와 기능의 상관성 및 감각기능을 향상시키는 훈련 전략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었다. 이에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감각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서 추후 감각기능 재활의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09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후 6개월이 경과된 환자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138명이었으며, 우측편마비 환자가 45명(33%), 좌측편마비 환자가 93명(67%) 이었다. 자료 수집은 2009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 까지 이루어졌으며,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감각기능, 운동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검사하여 수집한 값을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분석 결과, 우측편마비 환자에서 환측(우측)의 서화지각과 고유수용성 감각은 일상생활활동 중 개인위생 기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건측(좌측)의 통각은 개인위생, 용변처리 및 옷입기 기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우측편마비 환자군에서 환측(우측)의 운동기능을 포함하는 상지기능은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건측(좌측)의 경우 전반적 상지기능은 목욕하기 및 전반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좌측편마비 환자군에서는 환측 및 건측의 감각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건측 상지의 기능은 여러 일상생활활동 수행영역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우측편마비 환자의 경우 환측(우측)의 감각기능이 손상된 그룹보다 보존된 그룹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좌측편마비 환자의 경우에는 환측(좌측)의 감각기능 손상여부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좌ㆍ우측편마비 환자군 모두에서 건측 상지의 감각기능의 손상여부는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주지 않았다. 한편 좌ㆍ우측편마비 환자군 모두에서 건측 상지의 운동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좌측편마비 환자군에서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본 연구 결과 만성 뇌졸중 환자 중에서 운동기능을 포함하는 전반적 상지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우측편마비의 경우에는 환측과 건측의 감각기능도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 추후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있어서 감각기능에 따른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ensory impair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CVA(cerebrovascular accident) is a representative symptom of

weakness as well as an index to indicate the severity of CVA. Abnormal

somatosensory is one of the major restrictive factor influencing on motor

recovery of the stroke.

Nevertheless, there were relatively small amount of researches dealing

with sensory function of stroke patients compared to the motor or

cognitive fun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function and performances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ronic CVA patients.

One-hundred and thirty-eight CVA patients, who experienced their CVA

more than 6 months ago, were recruited. Their sensory, motor and cognitive functions, as well as performanc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assessed and analys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Graphesthesia and proprioception of the affected hand of patients

with right hemiplegi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 hygiene. Meanwhile, pain sense of the unaffected sid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oilet and dressing performances.

2) Carrying of cubes of the unaffected side in patients with right

hemiplegia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personal

hygiene and bathing self; meanwhile, carrying of cubes is correlated

only to bathing self. Total MFT score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bathing self and overall activities of daily living.

3) The motor functions of the unaffected side in patients with left

hemiplegia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ADL

performances.

4) Among the patients with right hemiplegia, patients with intact

sensory function showed superior performa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an patients with impaired sensory func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or function of upper limb of the

unaffected side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th right and left hemiplegics; this correlation was

especially obvious in patients with left hemiplegia.
Files in This Item:
T01127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08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