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9 642

Cited 0 times in

척추 유합술시 시행한 자가 수혈의 유용성에 대한 동종 수혈과의 비교 분석

Other Titles
 A Comparative analysis of usefulness of autologous transfusion with homologous transfusion in spinal fusion 
Authors
 손훈상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동종 혈액 수혈 시 바이러스 전파성 질환의 위험성 및 다른 여러 합병증들은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동종 혈액의 문제점이다. 이런 동종 혈액의 문제점들 때문에 지난 수년간 자가 수혈에 대한 관심과 사용이 급증하였으나 최근 고감도 검사법의 발전 등으로 바이러스 질환의 감염 전파 위험이 급격히 줄어들고 수술 전 혈액 예치식 자가 수혈의 다른 문제점이 부각되면서 그 유용성에 대한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수술 전 혈액 예치에 의한 자가 수혈은 정형외과 수술 영역에서와 같이 출혈량이 많은 수술에서 쓰일 수 있으며, 특히 척추 유합술은 골이식 부위로부터의 많은 양의 출혈로 인해 2-3 단위 이상의 수혈을 요한다. 이에 척추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 혈액 예치식 자가 수혈만을 시행한 환자들과 동종 혈액만을 수혈 받은 환자들의 술 후 감염, 술 전과 술 후의 혈청학적 변화, 수술시 출혈량 및 총 수혈량 등을 비교하여 자가 수혈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군은 척추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 총 106명이었으며 그 중 69례는 자가 수혈, 37례는 동종 수혈 만을 시행 받았다. 자가 수혈 피험자의 선정기준은 혈색소치가 11 g/dL 이상인 환자로 제한하였으며 체중, 수술 전 혈압 및 맥박을 검사하여 선정 기준에 맞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로써 분절 출혈량은 자가 수혈군에서 약 574.4 ± 131.8 ml 였고 동종 수혈군에서 약 635.3 ± 250.1 ml 였다. 총 수혈량에 있어서 자가 수혈군에서의 평균 수혈량은 2.1 ± 0.3 단위였으며 동종 수혈군에서는 3.5 ± 0.6 단위로 자가 수혈군이 동종 수혈군에 비해 혈액 사용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수술 1일 전, 수술 3일 후, 퇴원시의 혈색소치, 적혈구 용적치, 혈소판 수치는 두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합병증의 발병 역시 양 군간에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나 발열 기간에 있어서는 동종 수혈군에서 3.01 ± 4.12 일로 자가 수혈군의 1.53 ± 0.31에 비해서 더 증가된 수치를 나타내었다. 척추 유합술 시 자가 수혈을 시행받은 환자는 동종 수혈을 시행받은 환자에 비해 총 수혈량이 적었으며 전신 발열 기간에서도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 이는 동종 수혈에서 증가된 수혈량이 전신 발열 기간에 영향을 나타내었을 것이라 사료되며 출혈량이 많은 척추 유합술에서 자가 수혈은 전신 발열 기간을 줄이고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영문]Various complications due to transfusion of homologous blood are problems of homologous blood which have not been solved yet. For years, interest in autologous transfusion has increased rapidly and the ratio of it to the total transfusion has also gradually increased. However, thanks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high sensitive screening test etc., as the risk of spread of viral disease rapidly decreases and other problems of preoperative deposit autologous transfusion are brought into relief, there arises much dispute over its usefulness. Preoperative deposit autologous transfusion may be used for operations with much hemorrhage during and after surgery in the area of orthopedic surgery, and especially spinal fusion surgery requires large amount of transfusion because a lot of hemorrhage from bone graft bed and the influence of spinal instrumentation. So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utologous transfusion by comparing postoperative infection, pre- and postoperative serological changes, amount of transfusion during the operation and the segmented estimated blood loss of patients who received spinal fusion surgery.

The number of the patients were 106 patients with spinal fusion surgery and among them, 69 patients were operated with autologous transfusion while 37 cases with homologous transfusion. Subjects of autologous transfusion should meet the selection criteria of hemoglobin 11 g/dL or more and patients were chosen by testing their body weight, preoperative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fitting the criteria. As a result, segmental estimated blood loss was approximately 574.4 ± 131.8 ml in group 1 while 635.3 ± 250.1 ml in group 2. The mean transfusion units of the group 1 was 2.1 ± 0.3 unit and 3.5 ± 0.6 unit in group 2.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ess blood was transfused in the autologous transfusion group than homologous transfusion one.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hemoglobin level or the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duration of fever, group of homologous transfusion presented 3.01 ± 4.12 days which was more increased number of in group 1 of 1.53 ± 0.31 days.

In spinal fusion, the total amount of transfusion of the patients who were operated with autologous transfusion had less blood loss as compared to those with homologous transfusion and showed a significance decrease in their duration of fever. It seems that the amount of transfusion increased in homologous transfusion affected the whole duration of fever and that in spinal fusion with much hemorrhage, autologous transfusion is a way to shorten the duration of fever and increase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Files in This Item:
T01127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08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