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7 838

Cited 0 times in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한 상악 전치부 자연치의 순측과 구개측 골 두께 계측

Other Titles
 The thickness of facial and palatal bone of maxillary anterior natural teeth : radiographic analysis using computed tomograp 
Authors
 배수용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전치부는 임플란트 수복 시 골 유착 이외에도 심미적인 부분이 중요하다. 그러나 발치 후 주변 치조골은 흡수 되고 임플란트 수복에 좋지 않은 상황을 야기한다. 특히 상악 전치부는 순측 골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협측 골이 두꺼운 구치부에 비해 그 흡수 양상이 확연하다. 최상의 심미적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발치 전, 발치 후, 그리고 임플란트 식립 전에 협측 골판의 형태나 두께, 향후 발생할 골 소실의 양을 예측 할 수 있어야 한다. 치조골의 두께에 대한 정보는 발치 후 골 흡수 형태를 예상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치과용 전산화 단층촬영을 통해 얻은 영상 자료를 통해 심미적으로 중요한 상악 전치부의 순측 골판과 구개측 골판 그리고 순측과 구개측 골의 전체 폭을 측정함으로써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골조직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57명의 환자에 대해 상악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1 소구치, 제2 소구치에서 측정 하였다. 각 치아의 시상면 영상에서 백악법랑경계를 이은 선에서 치근 방향으로 수직으로 2, 3, 5, 7, 9 mm 떨어진 부위를 설정 하였다. 각각의 높이에 해당 하는 횡단면 영상에서 순측 골판, 구개측 골판, 순측과 구개측 골의 폭을 3 차원 화상 재구성 프로그램(Ondemand 3D®, Cybermed, Seoul, Korea)을 이용한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해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상악 중절치, 측절치, 견치의 순측 골판 두께는 1mm 이하로 측정되었다. 순측 골판의 두께는 중절치에서 소구치로 이행될수록 증가 하였고 가장 두꺼운 골판은 제2 소구치였으며 0.69mm 에서 최대 2.24mm 까지 관찰 되었다. 측절치의 순측 골판이 대체적으로 가장 얇은 두께를 보였다. 순측 골판 두께는 중절치에서 제1 소구치 까지는 5mm 부위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두꺼운 계측치를 나타내었고 제2 소구치에서는 치근단으로 갈수록 두꺼워 지는 경향을 보였다. 구개측 골판의 두께는 백악법랑경계 3mm 이상에서 모두 1mm 이상의 두꺼운 두께를 보였으며 제2 소구치에서 중절치로 이행될수록 증가 하였다. 구개측 골판은 모든 치아에서 치근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 하였다. 순측 골과 구개측 골의 전체 폭은 제2 소구치 부위에서 가장 두껍게 관찰 되었다. 모든 치아에서 백악법랑 경계에서 치근단으로 내려 갈수록 전체 골 폭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처럼 방사선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계측하는 경우 성인 및 실험동물 모두에서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며, 계측 대상을 희생하지 않고 시간 변화에 따른 연속적인 골 변화상의 관찰이 가능했다. 따라서 발치 후 연속적인 순, 구개측 피질골의 두께 변화를 촬영 후 계측함으로서 발치 후 피질골의 흡수 양상에 대한 좀더 정확한 양상을 파악한다면 본 연구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Purpose: Anterior region is crucial area for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However, the alveolar process undergoes atrophy after removal of teeth and creates unfavorable situation for implant installation. The knowledge of the thickness of alveolar bone is required to estimate and expect the bone resorption after extra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facial,

palatal and faciopalatal bone thickness on maxillary anterior teeth.

Methods: Facial, palatal, and faciopalatal bone thickness were measured on the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from 57 patients, using an image analyzer program (Ondemand 3D®, Cybermed, Seoul, Korea).

Results: The thickness of facial bone in incisors, lateral incisors and canines were less than 1 mm. The thickness of facial bone increased from anterior to posterior region and the thickness of palatal bone increased from posterior to anterior region.

Conclusion: The measurement can be used for planning implant surgery before extraction. CT images are clinically useful in the evaluation of thickness of alveolar bone.
Files in This Item:
T01126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07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