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098

Cited 0 times in

항암화학색전술을 받는 간암환자를 위한 교육자료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material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treated with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Authors
 이혜진 
Issue Date
2009
Description
가정간호 전공/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의 목적은 간세포암 환자들 중 항암화학색전술을 받는 환자를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화된 교육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항암화학색전술 환자를 위한 교육자료 개발을 위해 문헌고찰을 통한 교육항목 및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실무자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친 후 전문가 타당도와 대상자 요구도를 통하여 최종 교육 자료를 개발하였다. 일차적으로 항암화학색전술 환자를 위한 교육자료 항목에 대해 항암화학색전술 환자의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S병원 소화기내과 전문의 2인, 전공의 2인, 소화기내과 경력 수간호사 1인, 소화기내과 병동 경력간호사 3인, 혈관조영실 간호사 3인 등 총 11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실시하여 타당성 검증을 받은 항목과 실재 사용하게 될 대상자 10인의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교육자료가 개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7곳의 국외문헌과 3곳의 국내문헌, 실무자 의견을 수렴하여 시술 전 16개 항목, 시술 후 8개 항목, 퇴원 후 9개 항목으로 총 33개 항목의 예비교육자료 내용이 선정되었다. 둘째,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은 각 항목에 대해 Fehring(1987)의 방법을 사용하여 1(0점)은 ‘전혀 타당하지 않다’, 2(0.25점)은 ‘타당하지 않다’, 3(0.5점)은 ‘보통이다’, 4(0.75점)은 ‘타당하다’, 5(1점)은 ‘매우 타당하다’등으로 하여 CVI를 산출하여 지수가 0.75 이상인 항목을 선택하였다. 각 항목별 CVI는 시술 전 ‘금식’, ‘시술후 경험’, ‘피부준비’, ‘시술동의서 작성’, 시술 후 ‘침상안정’, ‘고관절 신전’, ‘활력징후’, ‘시술 후 합병증’, ‘Clo-Sur P.A.D. 제거방법’, ‘식이진행’, 퇴원 후 ‘합병증’, ‘샤워’, ‘외래방문’, ‘Lipiodol CT와 혈액검사 정보’ 등이 0.9이상으로 높은 지수로 나타났다. 시술 전 ‘간의 구조와 기능’은 0.52, ‘간암이란’은 0.73, ‘간암의 원인’ 0.59, ‘간암의 증상’ 0.59, ‘간암의 진단’ 0.52, ‘항암화학색전술 적응증’ 0.65, ‘혈액검사’ 0.57로 채택점수 0.75 이상을 충족하지 못했다. 셋째, 대상자 요구도에서 각 항목별 요구도 지수는 시술 전 ‘간암이란’, ‘간암의 원인’, ‘간암의 증상’, ‘시술방법’, 퇴원 후 ‘Lipiodol CT와 혈액검사 정보’ 등이 0.9이상으로 높은 지수로 나타났다. 시술 전 ‘금식’은 0.68, ‘시술동의서 작성’은 0.73, 퇴원 후 ‘샤워’는 0.73으로 채택점수 0.75 이상을 충족하지 못했다. 넷째, 문항채택 점수 0.75를 기준으로 9개 문항에서 전문가 내용타당도와 대상자 요구도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전문가 내용 타당도와 대상자 요구도 모두에서 0.75 미만인 문항은 없었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 및 실무현장에서 필요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33개 항목 모두를 최종 교육자료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항암화학색전술 환자에게 필요한 시술 전, 시술 후, 퇴원 후 교육을 전문가 타당도 및 대상자 요구도를 검증하여 실무에 유용한 교육자료로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임상 간호사가 교육자료를 실무에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환자 교육을 하는데 도움이 되고, 환자의 자가간호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앞으로 항암화학색전술 환자를 위한 세부 교육자료를 개발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7634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99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