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1540

Cited 0 times in

만성 B형 간염환자의 질병 지식, 불확실성, 스트레스, 건강행위

Other Titles
 Disease knowledge, uncertainty, stress and health behavior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uthors
 이정은 
Issue Date
2009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만성 B형 간염환자의 질병지식, 불확실성, 스트레스 및 건강행위의 수준을 파악하고 네 변수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만성 간염환자의 건강행위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09년 4월 16일부터 6월 5일까지 서울 소재 3차의료기관인 Y 대학 부속병원의 소화기내과 외래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 B형 간염환자 136명을 대상으로 직접 면담을 통한 설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B형 간염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박미정, 2002),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Mishel, 1981), 스트레스 측정도구(김영옥, 1997), B형 간염 환자의 건강행위 측정도구(박미정, 2002)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만성 B형 간염환자의 지식 수준은 평균 14.43점으로 중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연령이 낮으며(F=3.66, p=.02), 고졸 이하인 대상자에 비해 대졸 이상인 대상자의 질병지식이 유의하게 높았다(t=-1.74, p=.08). 직업이 있으며(t=-2.28, p=.02), 가족의 월수입이 많고(t=-3.00, p=.00), 간염의 가족력이 있는(t=-2.36, p=.02) 대상자들의 질병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2. 만성 B형 간염환자의 불확실성의 평균 점수는 81.50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이 고졸 이하인 대상자에 비해 대졸 이상이고(t=2.55, p=.01), 가족의 월수입이 많으며(t=2.72, p=.00), 간수치 결과를 알고 있는(t=2.45, p=.01)

대상자들의 불확실성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3. 만성 B형 간염환자의 스트레스 평균 점수는 26.50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는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만성 B형 간염환자의 건강행위의 평균 점수는 52.11점으로 중상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성이고(t=--2.39, p=.01), 연령이 높으며(F=5.43, p=.00), 기혼자이고(t=--3.26, p=.00), 간염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는(t=--2.12, p=.03) 대상자의 건강행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5.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질병 지식, 불확실성, 스트레스, 건강행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불확실성이 낮아지는 것으로(r=.-.253, p=.003), 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행위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199, p=.020). 또한 불확실성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아지는 것으로(r=.420, p=.000),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건강행위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250, p=.003). 6. 만성 B형 간염환자의 건강행위의 영향요인은 연령(R2=.056, p=.000), 불확실성(R2=.132, p=.005), 지식수준(R2=.168, p=.004), 성별(R2=.208, p=.002), 약물 복용여부(R2=.240, p=.011)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만성 B형 간염환자들의 건강행위 증진을 위하여 지식 수준을 높이고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며 스트레스를 낮춰줄 수 있는 간호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7630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98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