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4 378

Cited 0 times in

유치에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첨가한 광중합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탈회저항과 결합강도

Other Titles
 (The) resistance of demineralization and bonding strength of light-cured glass ionomer dental cement filled with hydroxyapatite in primary teeth 
Authors
 이정은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glass ionomer cement, GIC)는 불소 방출 등 여러 장점 때문에 소아치과 영역에서 널리 쓰이는 재료이나 미세누출로 인한 이차 우식증과 유지력의 부족으로 인한 수복물의 잦은 탈락 등과 같은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를 GIC에 추가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중합형 GIC(light-cure GIC, LC GIC)에 마이크로 입자(micro HA)와 나노 입자(nano HA) 크기의 HA를 첨가하여 유치에 적용했을 때의 탈회저항, 결합강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함이며, 탈회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일간 탈회시킨 시편을 절단하여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CLSM)과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을 사용하여 재료 인접부 법랑질의 탈회 양상에 대하여 관찰하였고, 결합강도 측정을 위해 재료를 치아에 부착하여 37℃의 유사체액에 2주간 담근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유구치의 법랑질 부위를 4일간 탈회 후 CLSM을 이용하여 탈회면을 관찰한 결과 LC GIC, micro HA, nano HA 순으로 법랑질의 탈회가 발생하였고 nano HA에서 가장 적게 탈회되었다.2. SEM을 이용하여 탈회면 관찰 시 LC GIC에서 법랑질의 탈회가 더 많이 일어났고 표면 입자의 형태가 불규칙적이었으며, micro HA와 nano HA는 빈 공간이 비교적 적고 표면 입자의 형태도 보다 규칙적이었다. 그 중에서도 nano HA가 micro HA보다 탈회저항성이 높아 더 조밀한 입자 표면을 보였다3. 유구치 상아질에서의 결합강도는 micro HA에서 가장 높았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17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98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