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7 492

Cited 0 times in

3D CT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안면비대칭자의 하악골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mandibular morphology in class III asymmetry using 3D CT 
Authors
 유국호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환자들의 심미적인 관심이 증가하면서, 안면비대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골격성 Ⅲ급 집단에서 안면비대칭의 비율은 크며, 하악골이 안면비대칭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2차원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확대, 왜곡, 불명확성 등의 문제점들이 있다. 최근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3차원 영상의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안면비대칭자들의 하악골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3D CT를 촬영한 성인 골격성 Ⅲ급 안면비대칭자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악골에 14개의 계측점들을 설정한 후, 하악체 길이, 하악지 길이, 하악과두 길이, 오훼돌기 길이, 하악과두 폭, 하악각, 정면 하악과두 경사, 수평 하악과두 경사, 하악골 부피, 하악지 부피, 하악체 부피 등을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편위측에 비하여 비편위측 하악과두는 상방 및 외측에 위치하였고, Corsup, F, Gomid는 전하방 및 내측에 위치하였다(P < 0.05).2. Consup(x), Corsup(z), F(z), Gomid(x), Gomid(z) 차이(비편위측-편위측)는 각각 menton의 편위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r = 0.438, 0.563, 0.429, -0.436, 0.514, P < 0.05).3. 하악체 길이, 하악지 길이, 하악과두 길이는 비편위측이 더 길었고, 오훼돌기 길이는 편위측이 더 길었다(P < 0.01). 하악과두 폭, 하악각, 정면 하악과두 경사는 비편위측이 더 컸다(P < 0.01). 수평 하악과두 경사는 비편위측과 편위측이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4. 하악지 길이 차이, 하악과두 길이 차이는 menton의 편위 정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r = 0.704, 0.644, P < 0.01).5. 하악골 부피, 하악지 부피는 비편위측이 더 컸고(P < 0.01), 하악체 부피는 비편위측과 편위측이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다.6. 하악지 부피 차이는 하악지 길이 차이, 하악과두 길이 차이(r = 0.765, 0.630, P < 0.01), 하악과두 폭 차이(r = 0.364, P < 0.05)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하악체 부피 차이는 하악체 길이 차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골격성 Ⅲ급 안면비대칭자들의 연구 및 치료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13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94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