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69 1279

Cited 0 times in

비디오투시 연하검사를 이용한 gugging swallowing screen과 기타 연하곤란 선별검사와의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between gugging swallowing screen and other dysphagia screening tests using videofluoroscopic swal 
Authors
 송원우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뇌졸중 후 연하곤란은 뇌졸중 환자에게 폐렴, 패혈증, 기도 폐색, 사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과정 중 연하곤란에 의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연하곤란 선별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어 다양한 선별검사법이 소개되고 있다. 이중 최근에 개발된 Gugging swallowing screen(GUSS)은 발병 후 24시간 이내의 뇌졸중 환자에서 타당성이 증명된 바 있고, 타 선별검사와 같이 통과(PASS) 및 탈락(FAIL)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여러 식이를 시도하고 점수화하여 연하곤란의 정도를 단계화하여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GUSS와 함께 여러 가지 연하곤란 선별검사를 실시하고, 비디오투시 연하검사를 통해 흡인 여부 등을 확인하여 연하곤란 선별검사로서 유용성을 확인하고 다른 연하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연하곤란 임상척도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대상 및 방법. 재활병원에 입원한 뇌졸중을 진단 받은 후 3개월 이상 지난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침상에서 선별검사인 GUSS, 3온스 물 연하검사, Burke dysphagia screening test(BDST), Standardized swallowing assessment(SSA)를 실시하였고, 24시간 이내에 비디오투시 연하검사를 실시하여 흡인 여부를 알아보고, 이를 기준으로 각각의 선별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 등을 측정하였고, 흡인이 있는 군과 없는 군에서의 각 선별검사의 통과-탈락 양상을 chi-square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비디오투시 연하검사를 통해 얻은 기능적 연하곤란 척도(Functional dysphagia scale, FDS) 및 Penetration-aspiration scale(P/A 척도)와 임상척도인 ASHA NOMS 연하척도(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 Measurement System swallowing scale) 및 연하곤란 임상척도(clinical dysphagia scale, CDS)를 구하여 GUSS와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았다.결과. GUSS는 비디오투시 연하검사에서의 흡인 여부를 기준으로 했을 때 민감도 90.9% 특이도 69.2%였고, 3온스 물연하검사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81.8%, 76.9%였으며, BDST의 경우 90.9%, 61.5%, 그리고, SSA의 경우 90.9%, 61.5%였다. 또한 각 선별검사의 통과-탈락 양상은 흡인이 있는 군과 없는 군간에 모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1). GUSS 점수는 비디오투시 연하검사로부터 구한 FDS점수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고(r=-0.594, p<0.01), P/A 척도와 상관계수 -0.747 (p<0.01)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임상척도인 ASHA NOMS 연하척도(r=0.432 p<0.01), CDS (r=-0.899, p<0.01)와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결론. 뇌졸중 재활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GUSS는 다른 연하곤란 선별검사와 비교했을 때 민감도와 특이도에서 다른 선별검사와 동등한 양상을 보여 주었고, 비디오투시 연하검사와 임상적인 연하곤란 척도와도 의미 있는 상관 관계를 보여 GUSS는 부가적으로 연하곤란 정도를 반영하는 임상척도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10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91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