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국내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인 중 악성종양 발생의 임상적 특징과 위험인자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백지현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1T07:41:03Z | - |
dc.date.available | 2015-11-21T07:41:03Z | - |
dc.date.issued | 2009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898 | - |
dc.description | 의학과/석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 악성종양은 기회감염과 함께 사람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인의 주요 질환이며, 특히 항레트로바이러스 다제요법(HAART)의 도입 후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국내 HIV 감염인의 악성종양에 대하여는 유병률과 임상적 특징에 대해 알려져 있으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시행된 바 없다. 이에 1987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에서 진료 받은 HIV 감염인을 대상으로 악성종양 진단과 그 위험인자에 대한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종양군과 대조군에 대하여 의무기록 확인을 통해 인구학적 특성, HIV 감염 관련 정보, 악성종양 관련 정보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악성종양 중 에이즈 정의 악성종양(71.6%)이 비 에이즈 정의 악성종양(29.4%)보다 많았다. 전체 악성종양 중 카포시육종(35.5%)이 가장 흔하였다. 종양군과 환자군을 비교했을 때, CD4 림프구 수(p=0.020)와 HIV RNA 역가(p=0.002),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병력(p=0.043)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조절되지 않은 HIV 감염과 그에 따른 면역억제가 악성종양 발생의 위험인자가 되었을 것이라는 추정을 뒷받침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악성종양의 구성 비율과 진단 당시의 임상적 특성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은 주로 면역억제에 의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향후 악성종양 발생의 감소를 위하여는 HIV 감염의 이른 진단과 효과적인 추적관찰 및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가 가장 필요하다. [영문]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restrictio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국내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인 중 악성종양 발생의 임상적 특징과 위험인자 | - |
dc.title.alternative | Cancer diagnoses and cancer risk factors among human immunodeficiency virus-infected subjects in Korea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department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 |
dc.contributor.localId | A01839 | - |
dc.identifier.url |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76238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Baek, Ji Hyeon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백지현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