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 627

Cited 0 times in

산재근로자 재해 전후 가정환경의 변화

Other Titles
 A study on family environment changes after worker's injury in an industrial accident 
Authors
 문웅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산업재해로 요양 중이거나 요양 종결한 근로자 383명을 대상으로 산업재해 후 가정환경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으며, 그 주요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정환경의 변화와 관련된 사회인구학적 요인, 직업적 요인, 산업재해 요양관련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자 중 96.9%가 경제적 문제, 가정불화, 자녀문제 등으로 가정환경에 변화가 있다고 하였으며, 그 중에서 경제적 어려움이 75.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경제적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경제적 어려움이 많았으며,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하여 경제적 어려움이 더 컸다(OR=3.86, CI; 2.73-6.28). 부양가족이 없는 사람에 비해 1명 있는 사람은 약 2.7배(OR=2.71, CI; 1.39-5.30), 2명 있는 사람이 약 3.5배(OR=3.58, CI; 2.07-6.19) 높아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경제적 어려움이 컸다. 교육수준에서는 전문대졸 이상인 사람이 중졸 이하인 사람에 비해 경제적 어려움이 적었다(OR=0.45, CI; 0.26-0.81). 산재요양관련 요인과 관련된 특성 중에는 가족이 간병할 때 경제적 어려움이 컸고, 입원치료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에 비해 3~6개월 이하인 사람이 0.5배(OR=0.55, CI; 0.32-0.95), 6개월 이상인 사람이 0.4배(OR=0.46, CI; 0.26-0.83)로 입원치료기간이 오래될수록 경제적 어려움이 낮았다. 대부분의 가정이 산업재해 후 가정환경의 변화가 있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가장 큰 변화는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약 75%가 선택하였다. 이런 경제적 어려움은 연령, 결혼유무, 부양가족 수, 교육수준, 업종, 간병인, 입원치료 기간, 장해등급에 따라 주로 결정되었다. 한편, 경제적 변화 이외에도 가족 사이의 친밀도가 낮아지고 부담감이 증가하는 등의 다양한 변화가 있었고, 이를 위해 가정 문제나 직장 문제의 상담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대응이 부족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경제적 변화 및 다양한 가정의 변화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정이나 직장에 대한 상담 등 사회적 지지가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06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87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