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5 400

Cited 0 times in

백서에서 교정적 치아 이동에 의한 골성 퇴축의 연령군간의 차이

Other Titles
 A micro CT study on the age-related changes in the bony recession induced by orthodontic tooth movement in rats 
Authors
 김진욱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교정적 치아 이동은 치조골의 골개조에 의해 일어나며, 치조골 외측으로의 치아 이동이 일어날 경우 골성 퇴축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서를 young군 (12주)과 adult군 (8-12개월)으로 나누어 중절치에 40g의 측방력을 지속적으로 가한 후, Micro CT촬영을 통해 연령 및 시간에 따른 골성 퇴축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Young군에서 adult군보다 치아 중심 사이 거리의 변화(p<0.05), 봉합 사이 거리의 변화(p<0.001)가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치아 이동 거리의 변화는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 Young군에서는 외측 피질골에서 1주 때 평균 0.82mm(p<0.05)의 골성 퇴축이 일어나나 2주 때 0.61mm, 3주 때 0.18mm로 골성 퇴축의 양이 점차 감소하였다. Adult군에서는 외측 피질골에서 1주 때 평균 1.04mm(p<0.05)의 골성 퇴축이 일어나고, 2주 때 1.50mm(p<0.001), 3주 때 1.54mm(p<0.001)로 그 양이 점차 증가하였다. 3. 골 부피는 young군에서 1주 때 평균 4.92mm3 감소하나(p<0.001) 2주 때 0.84mm3, 3주 때 0.12mm3의 감소량을 보여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Adult군에서도 1주 때 평균 5.08mm3 감소하나(p<0.05) 2주 때 4.00mm3, 3주 때 2.72mm3의 감소량을 보여 young군에서와 같이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4. 각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young(p<0.001), adult(p<0.01)의 2주군에서 치아 중심 사이 거리와 골 부피 사이에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골성 퇴축 양과 다른 변수들 간에는 두 군에서 모두 어느 시기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위의 결과를 통해 교정적 치아 이동이 일어날 때에 압박측의 피질골에서 보상성 골형성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dult군에 비해 young군에서 더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Adult군의 골형성 감소는 골격성 부정교합의 절충치료 시 과도한 치아이동을 제한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05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85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