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72

Cited 0 times in

노인의 사회적 환경과 약물 순응도와의 관련성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vironment and medication adherence among elderly 
Authors
 고지숙 
Issue Date
2010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지역사회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 순응도와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서울시 D구에 소재한 노인종합복지관과 경기도 K시 소재의 보건소 및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9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4주간 실시하였고 190부가 최종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73.9세이며, 여성이 115명(60.5%), 기혼이 105명(55.3%)으로 가장 많았고. 75명(39.5%)이 사별 상태였다. 교육수준은 무학이 18.4%, 초졸 이하가 27.9%, 고졸 이하가 44.2%로 나타났다. 배우자와 함께 사는 노인이 36.3%, 혼자 사는 노인은 30.5%였으며, 가구소득은 50만원 미만인 노인이 53.2%로 가장 많았고, 지역 및 직장 의료보험은 가진 노인은 74.2%였다. 대상자의 112명(58.9%)이 일대일 면접으로 응답하였다.2. 대상자의 병력은 고혈압이 89.5%로 가장 많았고, 이환 된 질병수가 1개인 대상자는 45.8%였으며, 유병기간이 1~5년인 대상자와 6~10년인 대상자가 각각 32.6%와 33.2%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 중 74.7%가 음주를 하지 않았고, 인지하는 우울 정도의 결과는 ‘우울하지 않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34.2%로 대체로 자신의 우울 정도에 대해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가 인지하는 건강상태는 ‘매우 건강하지 못하다’고 응답한 경우는 18.9%, ‘다소 건강하지 못하다’고 응답한 경우는 35.8%를 차지하여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비교적 건강하지 못하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 순응도 점수는 최소 0점에서 최대 7점으로 평균은 4.47±1.78점이었고, 점수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4점과 5점인 대상자가 각각 21.6%, 20.5%로 가장 많았다. 구체적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때때로 약 먹는 것을 잊는다’에 “예”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가장 많았고(59.5%), 약물 순응도 점수에 따라 순응도 그룹(낮은 순응도, 평균 순응도, 높은 순응도)을 구분한 결과 낮은 순응도 그룹에 속한 대상자가 69.4%이었다. 4. 대상자들의 사회적 지지는 최소 1점에서 최대 8점으로 평균 5.35±1.54점이었으며, 가족으로부터의 지지가 가장 높았고(6.10±1.80점), 주요한 타인으로부터의 지지가 가장 낮은(4.69±2.36점)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의료진과의 관계는 최소 1점에서 최대 7점으로 평균 5.29±1.02점으로 비교적 높았으며,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영역은 ‘정서적 지지’(6.04±1.43점)이었고, ‘의사결정력 통제’(2.96±.84점) 영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치료과정에 대상자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5. 노인의 약물 순응도는 우울(p=.033), 약물 부작용 경험 유무(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의료진과의 관계(r=.234, 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6.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 순응도 영향요인을 인구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사회적 환경으로 범주화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료진과의 관계, 우울, 약물부작용 유무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모형의 설명력은 11.9%이었다.이상의 결과에서 지역사회 만성질환 노인의 약물 순응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의 우울, 약물 부작용 경험 등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료진과의 긍정적인 관계는 노인의 약물 순응도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적인 중재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영문]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Yonsei Authors
Ko, Ji Sook(고지숙)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73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