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038

Cited 0 times in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연구의 체계적 분석 : 암환자를 돌보는 의료인을 대상으로

Other Titles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program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oncology care : systematic review 
Authors
 한나래 
Issue Date
2009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의료인을 위한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연구를 분석한 체계적인 문헌고찰이다.

국내외 전자데이터베이스(KoreaMed, KMbase, Richis, MEDLINE, CINAHL CENTRAL)를 이용하여 2008년 10월 까지 출판된 암환자를 돌보는 의료인을 위한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연구를 검색하여 총 12편의 무작위실험연구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였다.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종류는 총 8개로 모두 SCI에 등재된 학술지이다.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한 국가는 총 3개국으로 영국 6편, 벨기에 5편, 일본 1편이었다. JBI 평가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연구의 방법론적인 질을 평가한 결과 총 12편의 연구에서 '예' 응답의 평균개수는 6.7이었다. 평가 항목 중 실험군·대조군 무작위 할당, 대상자에게 실험군·대조군 배정에 대한 사실의 은폐, 연구자에게 실험군?대조군 배정에 대한 사실의 은폐, 중재 이외의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12편의 논문에서 수행한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의 참여자는 암환자를 돌보는 의료인과 학생으로 종양간호사, 종양전문의, 의사, 의과대학 학생 순서로 나타났다.

2. 총 12편의 논문 모두 환자-의료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에 대해 교육하였다. 프로그램에서 교육한 구체적인 의사소통기술에는 나쁜 소식 알리기, 환자의 불확실성과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진단과 예후에 관련된 환자의 정신병리학적 반응 인지하기, 질환에 대한 환자의 인식 사정, 지식과 정보제공, 환자의 정보공개 유도, 환자의 감정다루기와 공감반응 그리고 효과적?비효과적 의사소통기술 탐색이 있었다. 그 밖의 교육내용으로는 암환자의 이해, 암환자의 가족돌보기, 의료인 자신에 대한 탐색 등이 있었다. 그리고 총 6개의 연구에서 참여자의 요구에 따라 훈련의 목표와 내용을 결정하는 ‘학습자 중심(learner-centered)’의 교육방식을 사용하였다.

3. 의사소통훈련을 위한 교육방법은 소집단운영, 역할극, 토론, 강의, 피드백, 시범의 순서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방법이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소집단의 크기는 최소 2명에서 12명으로 모든 연구에서 소집단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운영기간은 최소 2시간에서 길게는 한 학기로, 대부분의 연구는 적어도 3일 이상의 기간에 걸쳐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4. 의사소통훈련 평가는 총 3가지 평가영역으로 이루어졌는데, 의료인-환자의 면담관찰을 통한 의사소통행위 평가, 의료인의 주관적인 평가 그리고 환자 측면의 결과이다.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된 의사소통기술은 공감표현, 개방형 질문, 심리적 탐색, 유도형 질문, 환자의 신호에 반응하기, 타당한 추정, 요약의 순서로 나타났다. 추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사정한 연구는 총 6편으로 추후 사정을 실시한 시기는 최소 3개월에서 최대 2년으로 프로그램 종료 후 3개월에 추후사정을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결론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반영하여 암환자를 돌보는 의료인을 위한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면 암환자와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과 의료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근거기반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the current level of evidence regarding the efficacy of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oncology care.

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six online databases(KoreaMed, KMbase, Richis, MEDLINE, CINAHL CENTRAL, 1966 to October 2008) to identify studies for a systematic review. As a result, 12 randomized control trials were selected for this review.

There were 8 journals from abroad. Every journal was registered in SCI.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3 countries while UK had the most with 6.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JBI appraisal checklist, papers scored an average of 6.7 points(for 'Yes'). Papers lacked the following items of JBI appraisal checklist. Random allocation, allocation concealment, control extraneous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11 studies targeted practising health care professionals(oncology nurses, oncologists, physicians) and 1 targeted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during their training.

2.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program provides overall contents of communication between cancer patient and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taught skills in programs were responding to uncertainity and stress, to cognitive psychopathological response, to take care of emotional needs, and to explore effective?un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nd 6 programs used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3.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were mostly furnished by a combination of small group discussion, role-play, lecture, feed-back and modeling. Maximum participants allowed for small groups was 12. Duration to complete the program was from 2-hours to a academic semester. Most program were organised over 3-days.

4. Intervention were evaluated with three types of measurements focusing on : Behavioral observation, health care professionals' self rating and patient outcomes.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were found in empathy, opened question, psychological probing, leading question, respond to patients' cue, educated guesses, summaris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view would provide evidences to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program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Oncology Care.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Yonsei Authors
Han, Na Rae(한나래)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70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