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20

Cited 0 times in

병사들의 피로와 수면양상, 사회적 지지, 군생활 적응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 between fatigue, sleep pattern,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among soldiers 
Authors
 고은자 
Issue Date
2009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육군 병사들의 피로와 수면양상, 사회적 지지, 군생활 적응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병사들의 피로 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개 지역 부대에서 군복무중인 병사 중 입대 후 3개월이 지난 병사 460명으로 편의 추출하였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피로자각증상 도구(일본 산업위생협회, 1970), 수면측정도구 A(오진주 등, 1998), 사회적 지지 도구(김혜정, 2007), 군생활 적응 도구(김혜정, 2007)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08년 10월 2일부터 10월 17일까지 16일간 4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426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 t 검정, 분산분석, 피어슨 적률상관계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2.17세였고, 계급은 상병이 33.8%로 가장 많았다. 부대형태는 국방부 직할 50.5%이었고, 병과는 전투병과가 57.0%이었다. 대상자들이 수행하는 교대근무의 형태는 1~2시간 단위 불침번이 53.8%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들이 평가한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이다’가 34.7%로 가장 많았다. 운동여부는 불규칙적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52.8%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 중 75.4%가 최근 3개월 이내 피로를 느끼는 피로군이 대부분이었으며, 피로가 발생된 시점은 최근 한 달 이내가 52.6%로 가장 많았으며, 피로의 원인은 56.4%가 불침번, 당직 근무, 생활관 생활 등의 군대내 문제라고 하였다. 피로정도는 전체 대상자가 60점 만점에 평균 15.81점으로 피로정도는 낮았다. 피로군은 평균 19.43점, 비피로군은 평균 4.72점으로 피로군이 비피로군보다 피로정도가 높았다.

3. 대상자들의 평균 수면시간은 6.55시간이었고, 지난 밤 이루었던 수면에 대해 만족하는 대상자는 20.7%이었다. 수면의 질은 전체 대상자는 56점 만점에 평균 32.74점으로 수면의 질은 보통이었다. 피로군은 평균 34.38점, 비피로군은 평균 27.73점으로 피로군이 비피로군보다 수면의 질이 낮았다. 사회적 지지는 전체 대상자는 147점 만점에 평균 102.79점으로 사회적 지지는 높은 수준이었다. 피로군은 평균 97.97점, 비피로군은 평균 117.52점으로 피로군이 비피로군보다 사회적 지지정도가 낮았다. 군생활 적응은 전체 대상자가 100점 만점에 평균 66.62점으로 군생활 적응은 보통이었으며 피로군은 평균 63.35점, 비피로군은 평균 75.01점으로 피로군이 비피로군보다 군생활 적응정도가 낮았다.

4. 대상자의 피로정도는 수면의 질이 나쁠수록 (r=0.583, p<0.01),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r=-0.432, p<.001), 군생활 적응이 낮을수록(r=-0.445, p<0.01) 높았다.

5. 대상자의 피로정도는 일반적 특성 중 주관적 건강상태(F=44.570, p<0.01), 운동여부(F=7.290, p<0.01)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주관적 건강상태를 ‘건강하지 않다’라고 응답한 대상자들은 ‘건강하다’라고 응답한 대상자들보다 피로할 확률이 8.213배였다(B=2.106, OR=8.213, 95% CI=2.744~24.853).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대상자에 비해서 안하는 대상자는 피로할 확률이 1.398배이었다(B=.922, OR=1.398, 95% CI=1.017~1.726). 수면의 질 점수가 1점 증가할수록 즉, 수면의 질이 1점 낮아질수록 피로할 확률이 1.103배이었다(B=.098, OR=1.103, 95% CI=1.046~1.162). 사회적 지지가 1점 증가할수록 즉, 사회적 지지정도가 1점 높아질수록 피로할 확률은 0.971배로 피로할 확률이 감소하였다(B=-.009, OR=0.971, 95% CI=.954~.988).

결론적으로 병사들의 대부분이 피로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피로정도는 낮았지만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않다고 평가하고, 운동을 하지 않으며, 수면의 질과 사회적 지지가 낮으면 피로할 확률이 높아진다. 병사들의 피로를 경감, 예방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변수들을 활용하여 피로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인 건강관리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맞춤형 건강관리사업을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보는 연구를 제언한다.





[영문]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sleep pattern,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among soldiers, in order to produc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improvement programs to prevent and manage fatigue in soldiers.

The participants were 426 soldiers who matched the study criterion, out of a total 440 from units of multiple type in Gyeonggi and Gwangwon Provinc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 2008 to October 17, 2008.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for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Jap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1970), for sleep pattern, Korean sleep scale A (Jin Ju Oh et al, 1998), for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the Social Support Scale and the Soldiers Adaptation During Life Scale (Hye Jung Kim, 2007).

Means, standard deviations, frequencies, percentages,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 Windows Version 14.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f the participants, 75.4% reported 'self perception of fatigue' in the past 3 months. The first reason for fatigue was problems due to military life and the frequency was 56.4%. The mean score for fatigue were 15.71 points for all participants, 19.43 points for the fatigue group and 4.72 for the non-fatigue group.

2. The mean sleep time was 6.55 hours, percentage of satisfaction with sleep the previous night was 20.7%, The mean score for quality of sleep was 32.74 points in all participants, 32.38 points for fatigue group and 27.73 for the non-fatigue group. The fatigue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quality of sleep compared to the non-fatigue group (t=6.669, p<0.01). The mean score for social support was 102.79 points for all participants, 97.97 points for the fatigue group and 117.52 for the non-fatigue group.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tigue group compared to the non-fatigue group (t=-8.039, p<0.01). The mean score for adaptation to military life was 66.62 points for all participants, 63.35 points for the fatigue group and 75.01 for the non-fatigue group. Adaptation to military life for the fatigue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n-fatigue group (t=-7.867, p<0.01).

3. Factors affecting degree of fatigue were self evaluated health status and exercise.

4.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sleep pattern,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among soldi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tigue and sleep pattern (r=0.583, p<0.01),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tigue and social support (r=-0.432, p<0.01),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r=-0.445, p<0.01).

5. Soldiers who evaluated their health status as negative had a 8.213 times higher incidence of fatigue than who evaluated their health status as positive, and soldiers who did not exercise had a 1.398 times higher incidence of fatigue than those who exercised regularly. Moreover a 1 point decrease in degree of quality of sleep resulted in a 1.103 times increase in incidence of fatigue, and 1 point increase in social support resulted in 0.971 times increase in incidence of fatigu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fatigue are self-evaluated health status, exercise, sleep pattern and social support.

So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fatigue in soldiers,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grams to reduce the incidence and degree of fatigue in which variables affecting fatigue found in this study are considered. This type of program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health in the army and promote health among soldier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43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