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 523

Cited 0 times in

Prognostic factors in small cell lung cancer : a new prognostic index in Korean patients

Other Titles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예후인자의 분석 및 지표 
Authors
 홍수정 
Issue Date
2008
Description
Dept. of Medicine/석사
Abstract
[한글]

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의 약 20%를 차지하며, 비소세포폐암에 비해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생존, 무진행 생존, 항암치료에 따른 반응에 대하여 예후인자를 찾아, 예상되는 생존에 따라 환자들을 분류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진단 이후 2년 이상 생존하는 장기 생존자의 특성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2년 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세브란스병원에서 진단받은 소세포폐암 환자 19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환자들의 치료 전 임상지표, 종양 관련인자들, 치료에 관련된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총 193명의 환자 중 제한병기가 91명 (47.2%), 확장병기가 102명 (52.8%) 이었다. 전체 환자의 반응률은 74.3%였으며, 중앙 생존 기간은 14.1개월 (95% CI 11.3-16.8) 이었다. 제한병기에서의 중앙 생존 기간은 28.7개월 (95% CI, 19.1-38.4), 확장병기에서는 10.2개월 (95% CI, 8.4-11.9) 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전체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로 병기, 수행능력, 체중감소, LDH, CYFRA 21-1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위의 다섯 가지 인자로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ART)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전체 환자를 비슷한 생존기간을 가지는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A군은 제한병기이면서 CYFRA 21-1값이 정상인 군, B군은 제한병기이면서 CYRFA 21-1값이 정상 수치 이상이거나, 확장병기이고 수행능력이 좋으면서 체중감소가 있거나, 확장병기이고 수행능력이 좋고, 체중감소가 없으면서 정상 LDH값을 가지는 환자들이 여기에 속했다. C군은 확장병기이면서, 수행능력이 좋고 체중감소가 없지만 LDH가 정상수치 이상인 환자들이었으며, D군은 확장병기 이면서 수행능력이 나쁜 환자들로 구성되었다. 네 군의 각각 중앙 생존기간은 각각 32.0, 12.8, 8.0, 3.5개월 (p<0.001) 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무 진행 생존은 8.7개월 (95% CI, 7.3-10.0) 이었으며, 제한병기 및 확장병기 에서는 각각 14.5개월 (95% CI, 4.0-24.9), 6.2개월 (95% CI, 5.4-6.9) 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병기, 수행능력, CRP, CYFRA 21-1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무진행 생존의 예측인자였다. 전체 환자 중 40명(20.7%) 이 2년 이상 장기 생존자로 관찰되었고, 이들의 중앙 생존기간은 45.3개월이었다. 장기 생존을 예측하는 인자는 병기와 예방적 두부 방사선 치료 여부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종전의 연구에서 소세포폐암의 예후인자로 잘 알려진 병기와 수행능력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치료 전 체중감소, LDH, CYFRA 21-1 수치도 예후인자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CART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환자 군을 예후에 따라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향후 전향적인 연구로 환자 분류 모델의 타당성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progression-free survival, and response to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SCLC), and to construct a prognostic index on the basis of their expected overall survival. We also characterized about long-term survivor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93 patients diagnosed with SCLC from January 2002 to September 2007 at Severance Hospital, Seoul, Republic of Korea. Pre-treatment variables were included both clinical and tumor-related markers, and treatment-related factors were also evaluated.

There were 91 (47.2%) limited-disease (LD) patients and 102 (52.8%) extensive-disease (ED) patients. Objective response to chemotherapy was 74.3%.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14.1 months (95% CI, 11.4-16.8) in all patients, 28.7 months (95% CI, 19.1-38.4) for LD patients, and 10.2 months (95% CI, 8.4-11.9) for ED patients. The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was 8.7 months (95% CI, 7.3-10.0).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were extent of disease, performance status, weight loss, LDH level, and CYFRA 21-1 level. Unlike our expectations, smoking history did not affect outcome.

We classified all patients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ART) analysis (p<0.001). Median survival times were 32.0, 12.4, 8.0, and 3.5 months, respectively.

A total of 40 (20.7%) patients from the entire study population were evaluated for long-term survival which was defined as more than two year survival. Their median survival time was 45.3 months, and extent of disease and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PCI)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for long-term survival.

We confirmed the well-known prognostic values of disease extent and performance status in our patients, but further identified weight loss, LDH level, and CYFRA 21-1 level a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A prognostic index was constructed to create four classifications of SCLC considering these variables. The independent value of CYFRA 21-1 level should be validated by further studies.
Files in This Item:
T01055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36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