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69

Cited 0 times in

두개골 결손부 재건에 있어 이동식 골절편을 이용한 골신연술

Other Titles
 Distraction osteogenesis with transport disc for the reconstruction of calvarial defect : an experimental study 
Authors
 최중호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막성뼈에서 골신연술에 의한 골재건이 가능하다면 많은 두개골 결손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험동물에서 광범위 두개골 결손을 발생시킨 후 이동식 골절편을 신연기에 연결하여 골신연을 시행함으로서 두개골 재생 여부와 기능성 골재생 여부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11 마리의 4 개월 된 mongrel 종자의 개를 대상으로 두정골 좌, 우에 결손부를 만들고, 이 때 채취한 골을 이용하여 이동식 골절편을 마련하였다. 골신연기 고정 후 아무런 조작을 가하지 않은 5 일간의 잠재기간을 둔 후, 22 일간 뼈를 신장시키는 골신연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성장된 뼈를 안정화시키는 총 5 개월간의 경화기를 시행하였다. 이후 골 결손부에 신생된 골면적과 신생골 및 정상골의 강도를 측정하고, 신생골과 정상골의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신생된 골조직의 면적의 평균값은 실험부위 57 ± 26.3 %, 대조부위 42 ± 21.3 % 로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p-value > 0.05). 골강도 평균값의 경우 실험부위는 0.50 ± 0.17 MPa, 정상부위는 0.55 ± 0.29 MPa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통계학적으로도 신연기에 의해 재생된 뼈의 강도와 정상적인 뼈의 강도 사이에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p-value > 0.05). 조직학적 검사에서는 실험부위에서 정상 막성뼈의 생성 과정과 비슷한 조직 소견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광범위 두개골 결손에 있어 이동식 골절편에 의한 골신연술은 기능성 있는 신생 골 조직을 형성하며, 두개골 결손 부위에서 효과적인 재건술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신생된 골의 생성 면적에 있어 일관성 여부, 그리고 신연술을 시행치 않은 결손부에서의 골 재생 면적과의 차이 등의 결과를 고려하면, 향후, 실제 인체 적용에 있어서는 골 조직의 재생에 중요한 내적 환경 요인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It is much easier to treat calvarial defect if the cranial reconstruction by distraction osteogenesis is possible in membranous bo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ransport distraction osteogenesis in reconstruction of the calvarial defect.

11 mongrel female dog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In all animals, bilateral full-thickness critically sized defect of parietal bone was created, one side was the experiment area and the other was the contral site. A part of extracted bone was used of a transport disc. After the external distraction device was fixed in calvarial defect, the latency period was 5 days, the rate of distraction was 1mm/day, extended for approximately 22 days. The consolidation period was 5 months. Specimen were investigated by plain film, 3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microtester machine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The average of regenerated area was 57 ± 26.3 % in the experiment site and 42 ± 21.3 % in the control sit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ite was not detected(p-value > 0.05). The average of the solidity was 0.50 ± 0.17 MPa in the experiment site and 0.55 ± 0.29 MPa in the non-injured calvaria.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ite was not detected, either(p-value > 0.05). In the histological analysis, the membranous ossification was founded in the experiment area.

In conclusion, In transport osteogenes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 reconstruction of large calvarial defect. But, not only the transport osteogenesis but also normal healing process resulted in reliable closure of extended calvarial defect, in animal. So, further research of this technique should help to estimate the promising potential in human calvarial reconstruc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35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