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008

Cited 0 times in

군병원 퇴원환자의 전환관리 프로그램(transitional care program) 개발 및 효과평가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discharge patients from military hospital 
Authors
 조순영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군병원 퇴원환자의 전환관리 프로그램 개발단계와 효과평가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이론적 기틀은 전환이론(Meleis, Sawyer, Im, Hilfinger Messias, & Schumacher, 2000)을 기초로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단계는 전환이론을 기반으로 문헌고찰에서 중재원리를 도출한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해 퇴원경험 및 프로그램의 요구도를 확인하고 군병원 퇴원환자의 퇴원준비 정도를 조사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여 전환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평가단계는 개발된 프로그램이 퇴원준비, 반응양상, 순조로운 퇴원전환 경험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07년 9월부터 2008년 4월까지이고, 연구대상은 국군○○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퇴원이 결정된 계급이 상병이하인 병사로 정신과에 입원하지 않았으며 연구기간 중에 군병원에 재입원하지 않았고, 퇴원이 결정된 병사이다. 대조군 79명을 대상으로 연구에 대한 동의를 받은 후 2007년 9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자료를 수집했으며, 실험군 56명을 대상으로 2007년 12월부터 2008년 4월까지 퇴원 1주일 전부터 퇴원 5주후까지 6주동안 개발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퇴원당일에는 퇴원준비를, 퇴원 1주후와 퇴원 5주후에는 퇴원전환을 각각 측정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x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mixed model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 프로그램의 중재 원리는 전환이론의 주요 개념 중에서 전환의 속성인 인식과 참여를 증진시키고, 전환의 조건인 개인의 퇴원준비와 지역사회의 지지적 환경 조성을 돕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치료진과의 신뢰형성, 퇴원절차에 대한 사전교육, 계획된 치료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자대 간부들을 대상으로 한 퇴원병사 관리교육, 군병원 의료진과 자대 간부간의 연계, 지속적인 퇴원환자의 추후관리, 자대에서 활용가능한 퇴원관리가 프로그램의 요구도로 확인되었다.

퇴원준비정도를 조사한 결과 퇴원 후 이용할 수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 및 정보와 자대 간부나 동료들로부터 기대되는 지지 점수가 낮고, 스트레스 인지정도가 높아서 군병원 퇴원환자를 위한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군병원 퇴원환자의 전환관리 프로그램은 퇴원환자 상담실 운영, 퇴원준비정도 사정, 가치와 경험공유, 퇴원절차 교육, 퇴원환자와 같이 퇴원후 주의사항 작성 및 제공, 의사소통기술 교육, 퇴원환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상담을 퇴원전 1주부터 퇴원후 5주까지 실시하는 것으로 개발되었다.

2) 프로그램 효과 평가단계에서 '군병원 퇴원환자 전환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퇴원전환의 개인적 조건이 촉진될 것이다'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이 지지되었다.

'군병원 퇴원환자 전환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퇴원 1주후 건강한 퇴원전환 반응양상을 나타낼 것이다'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이 지지되었다.

'군병원 퇴원환자 전환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퇴원 5주후 건강한 퇴원전환 반응양상을 나타낼 것이다'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이 기각되었으나, 실험군의 퇴원 5주후 과정지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군병원 퇴원환자 전환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순조롭게 퇴원전환을 경험할 것이다'의 가설을 검정한 결과 그룹요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이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군병원 퇴원환자 전환관리 프로그램은 군병원 퇴원환자의 퇴원준비를 촉진시키고 퇴원후 전환결과보다는 과정에 더 효과적이며, 연결감과 상호작용을 향상시켜 퇴원환자의 순조로운 퇴원전환을 촉진하였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discharge patients from military hospital. The study consisted of two phases developing the program and evaluating its effectiveness. The conceptual framework guided to develop the program was the transition theory(Meleis, Sawyer, Im, Hilfinger Messias, & Schumacher, 2000).

In the phase of program development, intervention principles were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 on transition theory and contents were determined by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of discharge readiness. For the phase of program evaluatio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ransitional care program on discharge readiness, response patterns, and smooth transition experience.

The participants were 135 discharge patients recruited from a military hospital. Seventy nine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56 to the experiment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developed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6 weeks, whereas only usual care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For data collection, discharge readiness was measured on the discharge day, and response pattern was measured in the 1 week and 5 weeks after discharge.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mixed model with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phase of program development, intervention principles consisted of the promotion of transition awareness and engagement, and the facilitation of personal readiness and supportive community.

The focus group interview showed that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ould include construction of the trust between medical staffs and soldiers, advanced education about discharge protocol, discharged soldier's management education for unit, connection between medical staffs and unit officers, continuous follow-up for discharge patient, and appropriate discharge management for military personnel. Also, as the result of the discharge readiness's survey, the expected support and stress management were added to the contents.

Finally,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military hospital discharge patients was developed and consisted of management of discharge counseling room, assessment of discharge readiness, sharing values and experience, education of discharge protocol, making and provision the follow-up brochure individually with patient, education of communication skill and the counseling about health management and military daily activity after discharge. The program was provided from 1 week before discharge to 5 weeks after discharge.

2. In the phase of program evaluation, the hypothesis 'the personal condition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promoted more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 hypothesis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more healthy patterns of response in the 1 week after discharge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 hypothesis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more healthy patterns of response in the 5 week after discharge than control group' was rejected.

The hypothesis 'experimental group will experience smoother discharge transition than control group' was supported.

In conclusion, the transitional care program developed for discharge patients from military hospital promoted discharge readiness, influenced more on discharge process than discharge outcome, and promoted smooth discharge transition through improving the feeling of connection and interac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32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