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0 980

Cited 0 times in

수종의 임플란트 식립간격에 따른 골흡수 비교

Other Titles
 Radiographic evaluation of marginal and crestal bone level around different implant neck designs and inter-implant distance 
Authors
 정유진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임플란트 보철물을 위해선 임플란트 주위 marginal bone과 임플란트 사이의 crestal bone의 흡수가 최소화 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부 디자인이 다른 3종류의 임플란트들 에서 식립간격에 따른 하중 1년 후의 marginal bone과 crestal bone의 흡수 양상을 관찰하여 임플란트의 macro-, microstructure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상악과 하악 구치부에서 2개 이상의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이중 인접한 임플란트의 식립간격이 1-2.5mm인 군(Group A)과 3-4.5mm인 군(Group B)을 대상으로 하였다. 종류별로는 상부는 machined surface이고 하부는 calcium phosphate로 blasting하여 표면을 거칠게한 Restore(Lifecore, Chaska, MN) 32개, 상부는 polished surface neck이고 하부는 sandblast처리 후 산처리된 표면인 Ankylos(Friadent GmbH, Mannheim, Germany) 30개, rough surface neck이며 상부에 미세나사선이 있고 몸통은 sandblast처리 후 산처리한 표면인 Oneplant(Warantec, Seoul, Korea) 32개를 사용하였다. Restore는 전통적인 external hex 타입의 임플란트이고 Ankylos와 Oneplant는 morse cone connection 타입의 임플란트이다. 보철물 장착 시와 기능 부하 1년 후 marginal bone의 흡수량과 crestal bone의 흡수량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다.

1. 세 종류의 임플란트에서 보철물 연결 1년 후의 marginal bone의 흡수량은 식립간격에 상관없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종류별로는 Oneplant가 0.07±0.14mm로 가장 적은 골흡수량을 보였다. 같은 시스템 내에서 식립 간격에 따른 marginal bone의 흡수량은 모두 유의차가 없었다.

2. Crestal bone의 흡수량은 식립간격에 상관없이 Oneplant가 0.05± 0.06mm로 가장 적었다. Oneplant는 다른 시스템과 모두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3. 같은 시스템 내에서 식립간격에 따른 crestal bone의 흡수를 비교 시 Oneplant와 Ankylos는 거리와 상관관계 없이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반면 Restore는 가까운 거리(group A)에서 흡수량이 0.68±0.27mm였고 먼 거리(group B)에서 0.33±0.18mm로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임플란트의 경부 디자인 및 표면처리 여부에 따라 하중 후 발생하는 marginal bone과 crestal bone의 흡수량이 달라졌으며 polished neck 보다는 상부의 미세나사선과 거친 표면처리가 임플란트 marginal bone과 crestal bone의 안정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임플란트를 미세나사선과 거친 표면처리를 한 경우 식립 간격이 2.5mm이하인 경우에도 crestal bone 흡수량이 최소화 되었으며 3mm이상인 경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문]

For esthetic and functional implant restorations, marginal bone loss at the bone-implant interface and inter-implant crestal bone loss should be minimize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macro-, microstructure of implant by observating the resorption pattern of marginal bone and crestal bone in 3 kind of implants with different neck designs after 1 year of loading. The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olar region that had lost more than 2 teeth. Among these, the groups with an inter-implant distance of 1-2.5mm(Group A) and 3-4.5mm (Group B)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types of the implants used were 32 Restore(Lifecore, Chaska, MN), in which the upper part had a machined surface and the lower part had a rough surface blasted by calcium phosphate, 30 Ankylos(Friadent GmbH, Mannheim, Germany) with polished surface necks, and 32 Oneplant(Warantec, Seoul, Korea) with a rough-surfaced neck with microthreads.

The marginal bone loss and crestal bone loss 1 year after functional loading was analyzed statistically, 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1. The marginal bone loss 1 year after functional loading, the three types of impla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 correlation to the inter-implant distance. Oneplant showed the least marginal bone loss with average of 0.07±0.14mm. The marginal bone lo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ter-implant distance in the same system.

2. Oneplant showed the least crestal bone loss with average of 0.05±0.06mm, and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other systems.

3. In comparing the crestal bone loss according to inter-implant distance in the same system,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neplant and Ankylos, but Resto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marginal and crestal bone loss were effected by the implant neck designs and surface characteristics, and it can be thought that microthread and rough surface attribute to the stability of marginal and crestal bone. Also, when the implants had microthread and rough surfaces, the crestal bone loss was minimized even when the inter-implant distance was less than 2.5mm,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when the distance was more than 3mm.
Files in This Item:
T01051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31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