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1 1495

Cited 0 times in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바터팽대부(Ampulla of Vater)암 환자의 예후 인자

Other Titles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ampulla of Vater cancer after curative resection 
Authors
 정문재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바터팽대부암은 팽대부 주위암의 약 6%~20%을 차지하고 있으며, 췌장암이나 담도계암에 비해 예후가 좋고, 절제 가능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팽대부 주위암 중 췌장암의 경우 근치적 절제술과 보조항암화학요법이 생존율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이 과거 전향적 대조군 연구를 통하여 입증되어 왔지만, 바터팽대부암에서는 보조항암화학요법이나 보조동시화학방사선요법 같은 수술 후 보조항암요법의 역할이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바터팽대부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기간, 국소재발, 원격재발 등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수술 전 예후인자들과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항암요법이 생존기간을 향상시키거나, 국소재발, 원격재발을 감소시키는 데에 기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1987년 1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에서 바터팽대부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총 137명의 환자들의 진료 기록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이 중 수술 후 2개월 이내에 사망한 5명은 제외하였다. 16명의 환자가 수술 후 보조항암화학요법을, 9명의 환자가 수술 후 보조동시항암방사선요법을 받았다. 중앙 추적기간은 38.4개월(범위; 2-237개월)이었다.

대상 환자들의 중앙 생존기간은 43.1개월(3-237개월)이었으며 2년, 5년 생존율은 각각 79.7%, 60.4% 이었다. 단변량 분석 결과 생존기간의 감소를 예측하게 하는 예후인자는 수술 전 국소 림프절 전이여부, TNM 병기였고, 다변량 분석 결과 국소 림프절 전이여부만이 생존기간의 감소를 예측하게 하는 예후 인자였다(HR 2.8, p=0.015). 국소 림프절 전이를 보이는 고위험군에서의 생존기간을 분석한 결과, 치료군(수술군, 보조항암화학요법군, 보조동시화학방사선요법군)간 생존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바터팽대부암 환자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불량한 예후를 예측하게 하는 위험인자는 수술 전 국소 림프절 전이이며. 고위험군 환자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보조항암요법은 생존기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입증하지 못하였다





[영문]

Objectives: Among periampullary cancer, ampulla of Vater cancer makes up about 6-20%, and has better prognosis and is more likely to be resectable than pancreatic cancer or CBD cancer. In pancreatic cancer, curative resection and adjuvant chemotherapy has been proved to increase overall survival by prospective controlled studies, but such has not been proved for ampulla of Vater cancer for adjuvant chemotherapy or adjuva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fter curative resection.

Method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mpulla of Vater cancer and received curative resection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87 to August 2007. Total of 132 patients was included for analysis. Average follow-up period were 63.2 months. The patients’ data were analyzed for pre-surgical factors predicting prognosis such as overall survival after surgery,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recurrence, and in high risk groups with risk factors, the role of post operative adjuvant therapy on overall survival and recurrence rate.

Results: Median overall survival were 43.1months(range; 3-237months), and 2 and 5 year survival rate were 79.7%, 60.4% each. Local lymph node metastasis before surgery was significantly meaningful prognostic factor(HR 2.8, p=0.015), and in case of distant recurrence, TNM stage II/Ⅲ showed increased cumulative recurrence rate(HR 5.3, p=0.016). Overall survival was analyzed in high risk group,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overall survival among treatment groups(surgery only, adjuvant chemotherapy, and adjuvant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onclusions: In this study, poor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in ampulla of Vater cancer was local lymph node metastasis before surgery, and adjuvant therapy after curative resection in high risk patients might not improve overall survival
Files in This Item:
T01050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Chung, Moon Jae(정문재)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5920-8549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31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