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8 493

Cited 0 times in

3D-CT를 이용한 골격성 Ⅲ급 개방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 설골 및 상기도의 변화

Other Titles
 (The) structural change of hyoid bone and upper airway after orthognathic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with anterio 
Authors
 이윤섭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개방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수술적 개선은 하악골 및 설골과 상기도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고 이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2차원적인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 설골과 상기도는 2차원적으로 분석할 경우 악골 구조물의 중첩 등으로 인하여 오류의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치부 개방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악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 중 12명을 선정 후, 3차원 전산화 단층 사진을 통해 설골과 상기도의 3차원 입체영상을 획득하고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 전, 후의 설골의 위치 변화 및 상기도의 부피 변화를 살펴보고, 이의 결과를 정상교합자 10명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얻었다.

1. 설골은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군에서 악교정 수술 전에 정상교합군의 설골에 비해 전방에 위치하고 있었다(p < 0.05).

2.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군에서 하악골 후퇴술을 동반한 악교정 수술에 의해 설골은 좌측, 후방, 상방으로 이동한 양상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수술전과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군에서 Hyoid plane과 Mandibular plane이 이루는 각은 악교정 수술 전에 정상교합군보다 큰 값을 나타내었고(p < 0.05), 악교정 수술 후에는 그 차이가 더욱 증가하였다(p < 0.01).

4.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군에서 악교정 수술 후 상기도의 부피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p<0.001).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군의 상기도 부피는 악교정 수술 전, 후 모두 정상교합군에 비해 작았다(p<0.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자에서 설골이 하악골의 하연과 이루는 각은 정상교합자 설골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고, 골격성 III급 개방교합자의 상기도 부피는 정상교합자 보다 작은 부피를 보이며 이는, 악교정수술 후에 더욱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After mandibular setback osteotomy for skeletal class III with anterior open bite patient, tongue is the most influenced area, and hyoid bone and soft palate follow it. In previous studie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us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ongue, hyoid bone, upper airway. The analysis of hyoid bone and upper airway have been limited to 2-dimensional method. In this study, we chose 12 patients diagnosed skeletal class III with open bite and went over mandibular setback osteotomy. We analyzed the skeletal measurements using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ed image of hyoid bone and upper airway.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searched for any changes on the position of hyoid bone and the volume of upper airway after the surgery. 10 people of normal occlusion were selected for the controlled group. Comparing Class Ⅲ openbite group and Normal group,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Class Ⅲ openbite group, hyoid bone were all positioned anteriorly, compared to Normal group(p<0.05).

2. After orthognathic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with anterior open bite patient, Upward, posterior, left displacement of the hyoid bone was seen postoperatively,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was found.

3. The angle between hyoid plane and mandibular plane in Class Ⅲ openbite group before surgery was greater than Normal group(p<0.05), and the differenc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p<0.01).

4. In Class Ⅲ openbite group, the volume of the upper airway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p<0.001) and the volume of the upper airway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Normal group before and after surgery(p<0.001).

Overall, in Class Ⅲ openbite group, the angle between hyoid plane and mandibular plane was greater than Normal group. The volume of upper airway in Class Ⅲ openbite group was smaller than Normal group, and the volume was decreased after orthognathic surgery.
Files in This Item:
T01046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7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