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1 821

Cited 0 times in

왁스 큐브를 이용한 새로운 저작효율 평가방법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new evaluating method of masticatory efficiency by using wax cube 
Authors
 이경철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Sato 등이 저작 효율 평가에 사용했던 MAI(Mixing Ability Index) 방법론을 한국인의 식습관 및 여건에 맞게 수정하여 한국형 MAI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과 신뢰성을 평가하고, 보다 간편하게 저작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20대, 40대, 60대의 건강한 한국 성인 42명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요인을 제어하여 객관적인 상태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실치아나 치주질환 등이 없는 20대 건강한 성인 14명을 대상으로 왁스 시편을 1회에서 25까지 각각 2회씩 저작하도록 한 후 분석하여 저작횟수에 따른 저작효율을 측정하였다. 땅콩을 각각 1회에서 25회까지 저작하도록 한 후, 이를 체분석법(sieving method)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2개의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새로운 판별함수를 구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MAI를 구성하는 다섯 개의 변수 중 색 섞임 비율만으로도 저작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지 조사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저작효율을 측정할 수 있는 조사 방법을 만들어 보고자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0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1회에서 25회까지 저작한 왁스 큐브를 이용하여 건강한 한국 성인의 저작효율을 나타내는 판별함수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MAI = 1.00×10?¹×MIXR(50) - 1.50××10?2×TR + 2.98×10?¹×LB

+ 0.00×FF - 1.00×10?3×AH - 7.336

2. 1주일의 간격을 두고 2회에 걸쳐 왁스 큐브를 저작하도록 하여 MAI방법의 신뢰성을 조사하였고, 기존에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는 땅콩을 이용한 체분석법과 비교하여 새롭게 구한 판별함수의 타당성을 평가한 결과, 새롭게 구한 판별함수는 높은 신뢰성과 타당성(상관계수 -0.927)을 보였다.

3. Sato 등이 제안한 판별함수를 구성하는 다섯 개의 변수와 객관적 저작효율 측정방법인 체분석법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다섯 개의 변수 중 색 섞임 비율과 체분석법과의 상관계수가 -0.933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색 섞임 비율만을 이용하여 저작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은 MAI 판별함수(상관계수 = -0.927)에 비해 객관적으로 저작효율을 측정하는 더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왁스 큐브를 이용하여 저작효율을 조사할 때, 왁스시편의 색 섞임 비율만을 구하여도 저작효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저작효율 측정방법인 체분석법보다 간편하며, Sato 등이 제안한 MAI보다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저작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객관적인 저작기능 중 동적인 저작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왁스 시편을 저작한 후 시편전체의 면적 중 색이 섞여 있는 부분의 비율만을 측정함으로써 개인의 저작효율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향후 개인의 저작기능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영문]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MAI (mixing ability index) methodology developed by Dr. Sato et al to 42 healthy Korean adults and tried to develop a new discriminant function. We selected adults in their 20s (n=14), 40s (n=14), and 60s (n=14) with no history of tooth loss or severe periodontal disease. The patients chewed wax cubes for 1 to 25 chewing strokes. These wax cubes indicated to us the change in masticatory efficiency as a surrogate of the number of chewing strokes. We evalu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method by comparing it with the sieving method using nuts. We tried to develop a simpler evaluating method by using the mixed color ratio, the ratio of the two-color wax-mixed area over the total chewed wax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urteen healthy Korean adults in their 20s chewed the wax cubes between 1 and 25 chewing strokes each. Compared to the sieving method, we were able to develop a new discriminant function for healthy Korean adults that was quite different from Sato's discriminant function in Japanese adults.

MAI = 1.00×10?¹×MIXR(50) - 1.50××10?2×TR + 2.98×10?¹×LB

+ 0.00×FF - 1.00×10?3×AH - 7.336

2.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new MAI using the test-retest method and measurement of the validity through comparison with the sieving method showed high reliability (p-value 0.58) and high validity (correlation coefficient -0.927, p<0.05).

3. We concluded that the mixed color ratio was the best way to evaluate the masticatory efficiency compared to the other variables in Dr. Sato's discriminantfunc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ixed color ratio and the sieving method (-0.933, p<0.05)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AI (-0.927, p<0.05).

We concluded that the discriminantfunction in Korean adults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Japanese adults, which showed high validity and high reliability, and the mixed color ratio was the best way to evaluate masticatory efficiency. The mixed color ratio is not only simpler than the sieving method, but it is also simpler and more accurate than discriminant function of MAI proposed by Dr. Sato et al.
Files in This Item:
T01045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6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