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2 551

Cited 0 times in

상악동거상술(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을 동반한 임플란트 식립후 생존율에 대한 후향적 연구

Other Titles
 (The) retrospective study of survival rate of implants with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Authors
 유정아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상악구치부는 치아 상실후 진행되는 치조골의 빠른 흡수와 함기화 (pneumatization)등으로 수직적 가용골의 결손이 많이 일어난다.

이에 Boyne과 James에 의해 발표된 측방 접근법의 상악동 거상술이 소개된 이후 생존율과 수술방법, 이식재의 종류, 임플란트 선택등에 대한 연구결과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초기의 이식재로 자가골이 사용되었고 점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등의 사용으로 범위가 확산되고 있고 임플란트 표면의 거칠기가 증가할수록 골접촉율의 범위가 커짐으로 rough Surface 임플란트가 machined surface 임플란트보다 높은 생존율을 보인다. 또한 동시식립이 추천되는 잔존골의 고경이 5mm이상이었고 점차적으로 1-2mm의 낮은 고경에서 동시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동 거상술후 식립된 임플란트의 전체 생존율을 알아보고 식립된 임플란트의 직경, 길이, 식립위치, 이식재의 종류,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잔존골 고경, 수술방법등을 분류하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평가하고자 한다.

2002년 5월에서 2006년 12월까지 서울 보훈병원 치과에 내원하여 상악동 거상술을 동반한 임플란트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군으로는 남성 101명과 여성 30명으로 총 131명이었다. 식립된 임플란트는 251개로 보철물 장착이 완료된 환자들을 선별하였고 평균 관찰기간은 24개월이었다. 진료 기?부 및 방사선학적 검사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131명의 환자에서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한 251개의 임플란트의 전체 생존율은 94%였다.

2. 임플란트 직경, 높이, 식립 위치별 분류에서 모두 안정된 생존율을보였다.

3. 자가골, 이종골, 동종골, 합성골등의 단독, 혼합 이식에 따른 통계학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P>0.05).

4. 다양한 임플란트 표면처리에서 모두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5. 잔존골의 고경에 따른 생존율은 1-3mm의 고경에서 가장 낮은 생존율(88.4%)을 보였다.

6. 치조정 접근법, 측방 접근법(동시 식립), 측방 접근법(지연 식립)에서 93.3%, 97.1%, 77.8%의 생존율로 통계학적 분석 결과 유의성이 있었다(P<0.05). 상악동 거상술을 동반한 임플란트 식립 방법은 높은 생존율로 예지성있는 술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잔존골의 고경이 낮은 경우 수술방법등의 신중한 선택이 높은 임상적 성공율을 가져올 수 있을것이다.





[영문]

The placement of implants in posterior maxilla have been difficule due to insufficient bone quality, rapid bone resorption after loss of teeth and pneumatization of maxillary sinus.

Since Boyne and James had published subantral augmentation with lateral approach, variable studies about survival rate, operation method, graft material, implant surface have been reported.

Autogenous bone graft was used for initial graft material, and it has been interested in the use of xenograft, allograft and alloplast. As the roughness of implant surface is increased, the rate of bone-contacted area is also increased, and implants of rough surface result higher survival rate than of machined surface.

The residual bone may be a crucial factor in the ability to achieve and maintain osseo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total survival rate of implants with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and the effects that reach the survival rate by classifying type of graft materials, implant surface, operation method, residual bone height, and finally to analyzing of implant failure.

The number of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implant placement with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were 131. All 251 implants were inserted.

The result which were estimated by clinical recordings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follows:

1. Survival rate of 251 implants with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was 94%.

2. Diameter, length, location of implant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urvival rate of implants.

3. Survival rate of implants using autogenous bone only was 8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ograft, xenograft and alloplast.

4. Types of implant surface processing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5. Low survival rates of 88.4% was shown at bone height of 1-3mm.
Files in This Item:
T01044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5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