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438

Cited 0 times in

Thickness of posterior palatal masticatory mucosa : the use of computerized tomography

Other Titles
 전산화단층활영법을 통하여 측정한 구개저작점막의 두께 
Authors
 송지은 
Issue Date
2008
Description
Dept. of Dental Science/석사
Abstract
[한글]

치주성형외과 술식은 환자 및 술자의 심미적, 기능적인 요구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조직 이식이 동반되는 외과적 술식 적용시 조직 공여부로 구개 저작 점막을 일차적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공여부에서 얻을 수 있는 조직의 두께 및 부피는 치료방법의 선정 및 수술 예후에도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 단층촬영법을 사용하여 구개 저작 점막의 두께를 측정하고, 조직 공여부로서 적절한 이식편을 얻을 수 있는 부위와 성별, 연령 및 구개 전정의 높이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 내원하여 상악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1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치아에서 구개정중봉합 쪽으로 24점을 정하고 각 위치에서의 구개점막의 두께와 구개 전정의 폭과 깊이를 측정하였다. 성별, 연령, 치아부위, 구개전정의 깊이에 따라서 구개 저작 점막 두께에 차이가 있는지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평균 구개 저작 점막 두께는 3.83 ± 0.58mm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얇은 구개 저작 점막 두께를 보였으며, 연령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치아 위치에 따른 구개 저작 점막의 두께는 견치에서 제2소구치 부위까지 점차 증가하다가 제1대구치에서 감소하여 제2대구치까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임상적으로 낮은 구개 전정 깊이와 높은 구개 전정 깊이를 가진 군 간에 평균 구개 저작 점막 두께에 있어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적 균일하게 두꺼운 점막을 보이는 상악 견치에서 소구치 부위의 구개 점막이 연조직의 공여부로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산화단층촬영 방법을 통한 구개 저작 점막 두께의 측정은 임상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임상 적용을 위한 유효성 및 신뢰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thickness of masticatory mucosa in the posterior palatal area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CT). The thicknes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CT images of one hundred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CT on the maxilla for implant surgery. Twenty-four standard measurement points were defined in the hard palate according to the gingival margin and the middle palatal suture. The radiographic measurements were utilized after calibration. The data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mucosal thickness according to gender, age, tooth positions and depth of the palatal vault.

The overall mean thickness of the palatal masticatory mucosa was 3.83 ± 0.58mm ranged from 2.29mm to 6.25mm. Females had significantly thinner mean masticatory mucosa (3.66±0.52mm) than males (3.95±0.60mm) (p < 0.0001). The thickness of the palatal masticatory mucosa increased with age. There was an overall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palatal masticatory mucosa as the distance from the gingival margin to the middle palatine suture increased with the exception of the Ca-d (a point at 12mm from gingival margin of the canine) reg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palatal masticatory mucosa between the high and low palatal vault group.

The palatal masticatory mucosa thickness increased from the canine to premolar, but decreased at the first molar and increased again in the second molar region, with the thinnest area at the first molar region and the thickest at the second premolar region.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the canine to premolar region appears to be the most appropriate donor site which contains a uniformly thick mucosa.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measurement of palatal soft tissue thickness.
Files in This Item:
T01042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3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